이 이

永平東郊[영평동교]次思可韻[차사가운]

돌지둥[宋錫周] 2024. 1. 26. 06:27

永平東郊[영평동교]次思可韻[차사가운] 

李珥[이이]

영평 동쪽 근교에서 사가의 운을 차하다.

時有㺚子聲息[시유달자성식] : 때마침 달자의 소식이 있었다.

 

客程杳何指[객정묘하지] : 나그네 길 가르키니 어찌나 아득한지

騑騑馬首東[비비마수동] : 말 머리를 동쪽으로 쉬지않고 달리네.

朔風捲地來[삭풍권지래] : 북쪽 찬 바람이 대지를 말아 오고

日入黃埃中[일입황애중] : 해가 지고나니 누런 티끌이 가득하네.

誰管北門鑰[수관북문약] : 누가 주관하여 북쪽 문을 지키는가

邊民愁犬戎[변민수견융] : 변방 백성 서쪽 오랑캐에 근심하네.

聖神方遠猷[성신방원유] : 거룩한 신이 장래의 계책을 견주면

四海車書同[사해거서동] : 사해 온 세상 천하가 통일되겠지.

安得霍驃騎[안득곽표기] : 어찌 시중 곽표기 장군을 얻어서

折彼天驕鋒[절피천교봉] : 저 흉노의 칼날을 꺾을 수 있을까

 

永平[영평] : 경기도 포천 지역의 옛 지명.

思可[사가] : 睦詹[목첨, 1515-1593]의 자, 호는 時雨堂[시우당] 또는 逗日堂[두일당]

  공조참의, 청홍도관찰사, 이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㺚子[달자] : 㺚靼[달단]과 통하여 蒙古 民族[몽고 민족]을 일컫는 말

聲息[성식] : 소식이나 편지, 음신, 소문.

朔風[삭풍] : 겨울에 북쪽에서 불어오는 찬 바람, 북풍.

犬戎[견융] : 고대 중국 西[섬서]·西[산서] 지역에 살던 오랑캐.

遠猷[원유] : 遠謀[원모], 장래를 생각하는 먼 계책.

車書同[거서동] : 천하가 통일 됨, 車同軌書同文[거동궤서동문],

   여러 지방의 수레의 너비를 같게 하고 글은 같은 글자를 쓰게 한다는 뜻.

霍驃騎[곽표기] : 霍去病[곽거병, B.C.140-B.C.117], 前漢[전한] 武帝[무제] 때의 무신.

   18세 때 侍中[시중]이 되어 衛靑[위청]을 따라 흉노 토벌에 공을 세워

   冠軍侯[관군후]에 봉해졌고, 영토 확장에 큰 공을 세워

   위청과 함께 大司馬[대사마]가 되었으나, 24세로 죽음.

天驕[천교] : 天之驕子[천지교자], 하늘이 剛驕[강교]하도록 내버려둔 자식],

   漢代人[한대인]이 匈奴族[흉노족]의 單于[선우]를 일컫던 말.

 

栗谷先生全書卷之一[율곡선생전서1권] 詩[시] 上 1

한국고전번역원 | 영인 표점 한국문집총간 | 1989 栗谷 李珥 (1536-158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