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시 겨울

甕牖梅[옹유매]

돌지둥[宋錫周] 2024. 6. 28. 06:40

甕牖梅[옹유매]  金履坤[김이곤]

항아리 들창의 매화.

 

仲冬[중동]余往候沙川川西[여왕후사청청서]新搆一草屋[신구일초옥]  

한 겨울에 나는 후사천으로 가 내 서쪽에 초가집 하나를 지었다.

用甕口作牖[용옹구작유]牖中蓄小梅[유중축소매]

항아리 주둥이를 써 들창을 만들고 들창 가운데 작은 매화를 기르며

從其內擧火[종기내거화]影在半壁[영재반벽]

나아가 그 안에 불을 켜니 그림자가 벽 절반에 있으며

月輪升天[여월륜승천]見者皆絶倒[견좌개절도]

둥근 달이 하늘에 오르는 것 같아 보는 사람들이 모두 넋을 잏고 넘어졌다.

用座中韻[용좌중운]賦呈一詩[부정일시]

앉은 가운데 운을 써서 시 하나를 지어 드러내다.

 

 

梅龕甕爲牖[매감옹위유] : 매화를 담아 항아리 들창을 만들어

留看曉燈前[유간효등전] : 머물러 바라보니 앞의 등불 밝구나.

影滿月中樹[영만월중수] : 나무 사이에는 달 그림자 가득하고

花搖鏡裏天[화요경리천] : 하늘 가운데 비추니 꽃이 흔들리네.

稚陽藏氣穩[치양장기온] : 양기가 어리니 온화한 기운 감추고

虛魄抱光專[허백포광전] : 공허한 달빛이 오로지 넑게 지키네.

䨥美長相合[쌍미장상합] : 쌍으로 즐기며 서로 만나 양육하니

孤高化外權[외고화외권] : 홀로 고상하여 권세 밖을 교화하네.

 

仲冬[중동] : 겨울이 한창인 때, 곧 음력 11월.

 

鳳麓集卷之一[봉록집1권]   詩[시]

金履坤[김이곤, 1712-1774] : 자는 厚哉[후재]호는 鳳麓[봉록]

   영조 때의 문신, 학자.  동궁시직, 신계현령 역임.

   1762년(영조 38) 사도세자가 화를 입자 궐내로 달려가 통곡한 죄로 파직되었다.

   시가 ·독서로 소일하다가, 1774년 신계현령이 제수되었다.

   시가에서 독특한 체를 이룩하였는데, 그것을 봉록체라고 한다.

 

 

 

'한시 겨울' 카테고리의 다른 글

記見[기견]  (2) 2024.06.20
江天暮雪[강천모설]  (0) 2024.06.13
癸巳冬奉使西路[계사동봉사서로]牛峰途中作[우봉도중작]  (0) 2024.06.01
後冬雨歎[후동우탄]  (0) 2024.05.25
還家[환가]  (0) 2024.05.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