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尙迪[이상적]

宿葛山[숙갈산]賦呈斗室相國[부정두실상국] 3-1

돌지둥[宋錫周] 2024. 4. 8. 08:34

宿葛山[숙갈산]

賦呈斗室相國[부정두실상국] 3-1

李尙迪[이상적]

갈산에 머물며 시를 지어 두실 상국에게 드리다.

 

芳草年年怨別居[방초년년원별거] : 꽃다운 풀 해마다 떨어져 사는걸 원망하고

東風門巷燕來初[동풍문항연래초] : 봄 바람에 문과 거리에 제비 처음 돌아오네.

時名早藉三都序[시명조자삼도서] : 늘 평판은 일찌기 삼도에 차례로 자자하고

世敎須煩半部書[세교수번반부서] : 세상 가르침 결국 반부의 논어도 번거롭네.

空谷蠭喧棠莢暖[공곡봉훤당협난] : 빈 골짝  따스한 아가위 꼬투리 꿀벌 떠들고

小溪魚聚柳花疎[소계어취류화소] : 작은 시내 물고기 모이고 버들 꽃 드물구나.

騷愁未放雙眉展[소수미방쌍미전] : 시 짓는 시름 버리지 못해 두 눈썹을 펴고

燈火靑熒夜話餘[등화청형야화여] : 등잔 불빛 푸르게 빛나며 밤에 좋은 말 남기네.

 

斗室[두실] : 沈象奎[심상규, 1766-1838]의 호. 자는 可權[가권], 穉敎[치교].

    다른 호는 彛下[이하], 초명은 象輿[상여]. 정조의 知遇[지우]를 받은 뒤

    상규라는 이름과 치교라는 자를 하사받았슴.

    형조참판, 병조판서, 우의정 등을 역임한 문신. 학자.

三都[삼도] : 조선시대, 州[광주], 原[수원], 城[개성]을 아울러 이르는 말.

半部[반부] : 半部論語[반부논어], 반 권語[논어].

    학습의 중요함을 이르는 말. 또는 자신의 지식을 겸손하게 이르는 말.

 

恩誦堂集詩卷一[은송당집시1권]  詩[시] 己丑[기축, 1829] 1848년 간행.

李尙迪[이상적,1804-1865] : 자는 惠吉[혜길] , 允進[윤진], 호는 藕船[우선],    

   당호는 藕船谿館[우성계관], 본관은 牛峰[우봉]이다. 漢語譯 [한어역관] 집안 출신.

   1843년에는 제주도에 귀양가 있던 스승 김정희에게

   북경에서 구한 桂馥[계복]의 『晩學集[만학집]』 8권과

   惲敬[운경]의 『大雲山房文藁[대운산방문고]』 6권 2책을 보내주었다.

   1844년 중국을 다녀와 賀長齡[하장령]의 『皇淸經世文編[황청경세문편 

   120권을 보내주자, 김정희가 이에 감격하여 <歲寒圖[세한도]>를 그려 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