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恒福

單于夜宴啚[선우야연도]

돌지둥[宋錫周] 2023. 5. 25. 06:42

單于夜宴啚[선우야연도]    李恒福[이항복]

선우의 밤 잔치 그림

 

陰山獵罷月蒼蒼[음산렵파월창창] : 음산의 사냥을 마치니 달빛 우거져 푸른데

鐵馬千羣夜踏霜[철마천군야답상] : 많은 무리의 철기마가 밤 서리를 밟는구나.

帳裏胡笳三兩拍[장리호가삼량박] : 장막 가운데 호가 소리 두 세 박자 맞추며

尊前醉舞左賢王[준전취무좌현왕] : 술그릇 앞에서 좌현왕이 취하여 춤을 추네.

 

單于[선우] : 넓고 크다는 뜻으로 흉노의 수령에 대한 존칭,

   左賢王[좌현왕], 右賢王[우현왕]은 지방의 최고 장관이었는데,

   선우 이하 관리 중 좌현왕의 지위가 가장 높았다.

   좌현왕은 선우의 儲副[저부]였기  때문에 항상 태자가 좌현왕이 되었다.

   史記[사기] 卷[권]110, 匈奴列傳[흉노열전].

陰山[음산] : 중국 북부를 동서로 가로지르는 天山山脈[천산산맥]을 말하는데,

    지금의 내몽고 자치구 남쪽 지경으로 뻗어 있다.

    이곳에서 胡人[호인]들이 무리 지어 사냥을 하였으며

    그  모습을 그린 그림이 음산대렵도 이다.

胡笳[호가] : 날라리, 풀피리.

 

白沙先生集卷之一[백사선생집1권] 詩[시]

李恒福[이항복], 1556-1618,일명 鰲城大監[오성대감].

   자는 子常[자상], 호는 弼雲[필운]·白沙[백사]·東岡[동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