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난설헌

次仲氏見星庵韻[차중씨견성암운]

돌지둥[宋錫周] 2017. 8. 12. 18:15

 

次仲氏見星庵韻[차중씨견성암운]   蘭雪軒 許楚姬[난설헌 허초희]

둘째오빠의 견성암 운을 차하여

 

雲生高嶂濕芙蓉[운생고장습부용] : 높은 산봉우리 구름이 생겨 연꽃이 젖어드니

琪樹丹崖露氣濃[기수단애로기농] : 붉은 언덕 옥같은 나무엔 이슬 기운이 짙구나.

板閣梵殘僧入[판각범잔승입정] : 남은 불경 경판각에 스님이 들이어 바로잡고

講堂齋罷鶴歸松[강당재파학귀송] : 강당 재계를 마치자 학이 소나무에 돌아오네.

蘿懸古壁啼山鬼[라현고벽제산귀] : 담쟁이넝쿨 늘어진 오래된 벽엔 산귀신 울고

霧鎖秋潭臥燭龍[무쇄추담와송룡] : 안개에 갇힌 가을 못에는 촉룡이 누워 쉬네.

向夜香燈明石榻[향야향등명석탑] : 밤을 대하는 향기로운 등불 돌 마루를 밝히고

東林月黑有疏鍾[동림월흑유소종] : 동쪽 숲의 저녘 달빛이 먼 종소리 독차지하네.

 

 

仲氏[중씨] : 남의 둘째형을 높여 이르는 말.

芙蓉[부용] : 연꽃.

琪樹[기수] : 玉처럼 아름다운 나무.

板閣[판각] : 經板[경판]을 쌓아 놓는 殿閣[전각].

燭龍[촉룡] : 山[종산]神[신], 키가 里[천리]요 사람 얼굴에 뱀의 몸으로, 입에 촛불을 머금고

                  門천문]을 비추며 숨을 들이마시면 겨울이 되고 내쉬면 여름이 되며, 눈을 뜨면 낮이요 감으면 밤이 됨.

                 陰[촉음]이라고도 함.<經[산해경] 經[해외북경]

 

淨掃瑤壇禮上仙[정소요단예상선] : 아름다운 제단 깨끗이 쓸고 신선께 예를 올리니

曉星微隔絳河邊[효성미격강하변] : 새벽 별 어렴풋이 바뀌어 강 언저리 붉어지네.

香生岳女春遊襪[향생악녀준유말] : 향기 나는 큰산 여인은 허리띠 움직여 즐기고

水落湘娥夜雨絃[수락상아야우현] : 쓸쓸한 강물의 상아는 비오는 밤 악기를 타네.

松韻冷侵虛殿夢[송운랭침허전몽] : 솔 바람 차츰 차가워 헛되이 신음하며 꿈꾸니

天花晴濕石樓煙[천화청습석루연] : 하늘 꽃(눈) 그대로 개이며 돌 망루 아리땁네.

玄心已悟三三境[현심이오삼삼경] : 심오한 뜻을 이미 깨달아 거듭 삼매경인데

盡日交床坐入禪[진일교상좌입선] : 종일토록 평상 마주해 참선에 들어 앉아있네.

 

淨掃[정소] : 깨끗이 쓺.

曉星[효성] : 새벽에 보이는 별, 金星[금성], 啓明星[계명성], 明星[명성], 晨星[신성].

春[춘] : 봄 춘, 움직일 준.

湘娥[상아] : 娥皇[아황]女英[여영]. 아황과 여영은 전설 속 堯[요] 임금의 두 딸인데, 맏은 아황, 다음은 여영이다.

                        堯[요]舜[순]의 재능과 덕을 높이 평가하여 두 딸을 그에게 시집보냈다

                        임금이 天子[천자]가 되자 아황은 后[후]가 되고 여영은 妃[비]가 되었는데,

                        훗날 순 임금과 함께 남쪽으로 巡狩[순수]를 나갔다.

                        두 사람은 순임금이 남쪽을 순수할 때 태풍을 만나 洞庭山[동정산]에 머물고 있었는데,

                        순 임금이 蒼梧[창오]에서 急逝[급서]했다는 소식을 듣고 두 사람은 모두 瀟湘[소상] 사이에서 몸을 던져 죽었다.

                        전하기로는 아황은 湘君[상군]이 되고 여영은 湘夫人[상부인]이 되었다고 한다.

松韻[송운] : 바람에 흔들리어 나는 소나무의 맑은 소리를 시의 운에 비유하는 말.

天花[천화] : 눈.

 

              

蘭雪軒詩集[난설헌시집] 七言律詩[칠언율시] 季弟許筠彙粹[계제허균휘수]1606

한국고전번역원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1991 인용

'허난설헌' 카테고리의 다른 글

閨怨[규원] 許楚姬[허초희]  (0) 2018.11.06
宿慈壽宮贈女冠[숙자수궁증여관]  (0) 2017.08.15
春日有懷[춘일유회]  (0) 2017.08.10
送荷谷謫甲山[송하곡적갑산]  (0) 2017.08.04
效沈亞之體[효심아지체]  (0) 2017.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