謹奉寄獻紅旗侍胥六絶[근봉기헌홍기시서륙절] -6
篠叢 洪裕孫[소총 홍유손]
삼가 받들어 홍기시서에게 부쳐 올리다.
中隔微茫碧海長[중격미망벽해장] : 사이가 멀어져 어슴프레한 항상 푸른 바다
柑花難再喚淸香[감화나재황청향] : 귤나무 꽃 거듭 우거지며 맑은 향기 부르네.
苦憐兒子號爺哭[고련아자호부곡] : 괴롭고 불쌍한 아들 자식 울며 아비 부르니
半夜神驚墮下牀[반야신경타하상] : 한밤중 혼이 놀라 평상 아래로 떨어졌다오.
紅旗侍胥[홍기시서] : 구체적으로 누구인지 모름.
다만 추정컨대 中宗[중종]4년(1509) 이전 시기는
제주 유배 시절이므로 제주도 정의 현감을 역임한 자로 추정.
篠䕺遺稿[소총유고]下[하] / 詩[시]
洪裕孫[홍유손, 1431-1529] : 자는 餘慶[여경], 호는 篠叢[소총], 狂眞子[광진자].
조선 전기의 시인. 세조가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자 세속적인 영화를 버리고
노자와 장자를 논하며 술과 시로 세월을 보내 청담파로 불렸다.
연산군 때(4년, 1498년 9월) 김종직의 제자였다는 이유로 무오사화에 연루되어
제주도에 관노로 끌려 갔다가 중종 반정으로 풀려 남.
'한시 봄'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春日訪赤岸[춘일방적안] 3-3 (0) | 2025.02.24 |
---|---|
春日訪赤岸[춘일방적안] 3-2 (0) | 2025.02.20 |
次邀月亭主人李廣文[차요월정주인이광문] (0) | 2025.02.15 |
咏柳[영류] (0) | 2025.02.15 |
南園[남원] 十三首-8 (0) | 2025.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