숙모를 속여서 먹을 취하다.
誑嬸取墨[광심취묵]
우리나라 먹의 산지가
한 곳이 아니니만,
해주의 수양매월이
가장 최고품이 된다.
我東産墨之地非一而,
[이동산묵지지비일이]
海洲之[해주지]
首陽梅月爲最[수양매월위최].
예전에 한 재상이
해주감사에서
바뀌어 돌아오니,
그 조카 중에
먹을 구하는 자가 있었으나,
재상이 없다고 사절하니,
조카가 한스러워하다가,
頃世一宰遞[경세일재체]
海伯來[해백래],
其侄有求墨者[기질유구묵자]
宰辭以無故[재사이무고]
侄恨之[질한지]
首陽梅月[수양매월] : 황해도
해주에서 나오는 먹의 이름,
후에 그 숙부가
출타함을 기다려,
그 부인에게 말하기를,
後俟其叔出[후사기숙출]
告夫人曰[고부인왈] :
“나의 숙부가 방백이 된 뒤로,
두 명의 기생과
친하게 매혹되셨는데
“吾叔爲[오숙위]方伯後[빙백후]
昵惑兩妓[닐혹양기]
하나는 수양이라 하고
하나는 매월이라 하는데,
임기를 마치고 돌아올 때
매양 잊지 못하고 있어
一曰首陽[일왈수양]
一曰梅月[일왈매월]
及[급]遞歸[체귀]
眷眷不忘[권권불망]
이에 그 기생 이름을,
먹의 표면에
찍어 돌아오셨는데,
숙모님께서는
그것을 알지 못하세요?
만약 나를 불신하신다면,
그 먹을 시험적으로 보세요.”
하니,
仍以妓名[잉이기명]
印之墨面而來,[인지묵면이래]
叔母其不知也[숙모기부지야]?
如我不信[여아불신]
試觀其墨[시관기묵].”
부인이 곧 궤짝을 열어
그것을 본즉,
궤에 가득 찬 먹이,
모두 수양 매월인지라.
夫人卽開櫃視之[부인즉개궤시지]
滿櫃之墨[만궤지묵]
皆首陽梅月也[개수양매월야].
노기가 발끈 일어나서
궤짝을 들어서 던지니
그 먹이 땅에 흩어지거늘,
조카가 곧 나아가서 주워
소매에 가득 채워 가지고
돌아갔다.
怒氣[노기]勃發[발발],
擧櫃擲之[거궤척지]
其墨散于地[기묵산우지]
侄乃就拾滿袖而歸
[질내취습만수이귀].
저녁에 이르러
재상이 밖에서 들어오다가
먹 궤를 땅에 버린 것을 보고,
至夕宰自外而入
지석재자외이입]
見墨櫃[견묵궤]委於地[위어지]
크게 놀라서 물어 말하기를
“어찌된 까닭인가?” 하니,
大駭問曰[대해문왈]:
“何故耶[하고야]?”
부인이 꾸짖어 말하기를,
“사랑하는 기생 이름을
어찌 손바닥에 새기지 않고
먹에 새겼소?”하니
재상이 그 조카의 짓인 줄 알고
부인에게 말하기를
夫人罵曰[부인매왈]
“所愛妓名[소애기명],
何不刻于掌而[하불각수장이]
刻於墨耶[각어묵야]?”
宰知其侄之[재지기질지]
所爲[소위] 語夫人曰[어부인왈]
“해주부의 큰 뒷산을
수양이라 하는데,
그 산의 매화 꽃과 달로
그 먹 이름으로 한 것이
오랜 일이요.”
라고 설명하였으나,
“海府之[해부지]
鎭山曰首陽[진산왈수양]
以其山之梅月[이기산지매월]
名其墨久矣.[명기묵구의]”
부인이 오히려
그것을 믿지 않고
꾸짖음이 입에서
끊이지 않으니,
재상이 그 괴로움을
이기지 못했다고 한다.
夫人猶不信之[부인유불신지]
罵[매]不絶口[불절구]
宰不勝其苦[재불승기고].
이 이야기가 한 때
널리 웃음을 전하였다.
一時傳笑[일시전소].
'고금소총' 카테고리의 다른 글
借冊爲枕[차책위침] (0) | 2021.07.31 |
---|---|
痴郞失穴[치랑실혈] (0) | 2021.07.31 |
改數庇妻[개수비처] (0) | 2021.02.16 |
舅婦竊粥[구부절죽] (0) | 2021.02.16 |
古今笑叢[고금소총] 63. 如槌撞之[여퇴당지] (0) | 2016.12.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