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白

春日醉起言志[춘일취기언지]

돌지둥[宋錫周] 2024. 4. 14. 09:08

春日醉起言志[춘일취기언지]  李白[이백]

봄날에 취해 일어나 뜻을 말하다.
       
處世若大夢[처세약대몽] : 이 세상 살아감은 큰 꿈과 같으니 
胡爲勞其生[호위노기생] : 어찌 그 삶을 힘들여 다스리는가
所以終日醉[소이종일취] : 까닭에 아침부터 저녁까지 취하여 
頹然臥前楹[퇴연와전영] : 몽롱하게 쓰러져 기둥 앞에 누웠네.
覺來眄庭前[교래면정전] : 깨어난 뒤에 앞의 뜰을 바라보니
一鳥花間鳴[일조화간명] : 한 마리 새가 꽃 사이에 울고있네.
借問如何時[차문여하시] : 묻노니 지금은 어느 계절이던가
春風語流鶯[춘풍어류앵] : 봄 바람이 꾀꼬리 소리를 전하네.
感之欲歎息[감지욕탄식] : 느낌 이르러 한탄에 한숨 쉬려니  
對酒還自傾[대주환자경] : 마주한 술 다시 스스로 기울이네.
浩歌待明月[호가대명월] : 크게 노래하며 밝은 달 기다리며
曲盡已忘情[곡진이망정] : 곡을 다하니 이미 정을 잊었구나.

 

言志[언지] : 자기 뜻을 말하다, 詩[시]를 이르는 말.

 

헛된 욕망과 잇속 다툼으로 점철된 세상살이 탓에

일평생 마음의 평안을 누리지 못한 시인의 탄식이 도처에 배어 있다.

짧은 벼슬살이를 통해 황제의 측근으로부터 모욕과 배척을 경험한 후

여기저기 떠돌며 음주를 즐기고 티끌세상의 혼돈에서 초연하고자 애썼던 시인.

하지만 황제를 도와 정치적 이상을 실현해 보겠다는 의지는 좀체 사그라지지 않았기에,

시인은 관직에 대한 열망을 토로하며
要路[요로]에 스스로 천거하는 시문들을 보내고 또 보냈습니다.

 

현실은 냉혹했고 인생살이는 한바탕 꿈처럼 속절없이 흘렀으니

‘왜 제 삶을 수고롭게 하나’라는 탄식이 절로 나옵니다.

반복되는 좌절감에 시인이 겪었을 내면의 모순과 갈등,

하여 그는 계절조차 잊은 채 ‘종일토록 취해,

질펀하게 앞 난간에 기대어 누워 있다.’

애당초 명리로부터 의연하게 초탈할 수 있었다면

이 주체 못할 갈등에 시달리진 않았으련만.

여하튼, 호탕하게 불러댄 봄날 취해 부르는 노래로

시인의 가슴속 응어리가 어느새 사르르 풀렸다니 다행이다.

이준식 성균관대 명예교수

 

인생에 대한 달관과

관조의 자세를 견지하려는

도가적 인생관을 담은 노래. 

'李白' 카테고리의 다른 글

贈汪倫[증왕륜]  (0) 2024.05.14
金陵酒肆留別[금릉주사유별]  (0) 2024.05.11
行路難[행로난] 1  (4) 2024.02.13
山中與幽人對酌[산중여유인대작]  (2) 2024.02.10
靜夜思[정야사]  (0) 2024.02.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