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황

往在乙亥春[왕재을해춘]叔父松齋遊山[숙부송재유산] 2-1

돌지둥[宋錫周] 2024. 12. 8. 21:58

往在乙亥春[왕재을해춘]叔父松齋遊山[숙부송재유산]

寓上淸涼庵[우상청량암]滉與諸兄弟侍[황여제형제시]

今來不勝感涕[금래불승감체]示諸姪孫[시제질손] 二首-1

退溪 李滉[퇴계 이황]

예전 을해(1515, 15세)년 봄 숙부 송재께서 산을 유람하시며

상청량암에 우거하시니 황과 더불어 형제들이 모시었다.

지금 오니 감격의 눈물 견디지 못해 여러 조카와 손에게 보이다.

 

淸涼寺裏憶陪遊[청량사리억배유] : 청량사 가운데서 모시며 놀던 일을 생각하니

丱角如今雪滿頭[관각여금설만두] : 총각 머리가 지금은 머리에 눈이 가득해졌네.

鶴背幾看陵谷變[학배기간릉곡변] : 학의 등에 자주 보니 언덕과 골짜기 변하고

遺詩三復涕橫流[유시삼복체황류] : 남긴 시 세번 되풀이하니 눈물이 섞여 흐르네.

 

叔父松齋[숙부송재] : 李堣[이우,1469-1517], 형조 참판, 강원도 관찰사 역임한 문신,

   퇴계학의 초석을 마련한 인물.

感涕[감체] : 감격하여 목매여 욺.

淸涼寺[청량사] : 경북 봉화군 명호면 북곡리 청량산에 있는 사찰.

陪遊[배유] : 귀한 사람을 모시고 놂.

丱角[관각] : 丱童[관동], 두 가닥의 뿔 모양으로 묶은 머리, 어린 아이, 총각.

 

退溪先生文集卷之二[퇴계선생문집2권] 詩[시]

한국고전번역원ㅣ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ㅣ1989

李滉[이황 : 1501-1570] : 본관은 眞城[진성], 자는 景浩[경호],

   호는 退溪[퇴계], 退陶[퇴도], 陶搜[도수].

   주자의 성리학을 심화, 발전시킨 조선의 유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