步虛詞[보허사] 八首[8수]-7 步虛詞[보허사] 八首[8수]-7 蓀谷 李達[손곡 이달] 其七 羊城使者取眞符[양성사자취진부] : 양성의 사자가 진부를 손에 들고서 露佩胸前豁落圖[로패흉전활락도] : 가슴 앞에 드러나게 활락도를 찼네. 直指扶桑催木帝[직지부상최목제] : 곧바로 부상 가리키며 목제를 재촉하여 及時傳語上淸.. 李達 2018.02.05
步虛詞[보허사] 八首[8수]-6 步虛詞[보허사] 八首[8수]-6 蓀谷 李達[손곡 이달] 其六 西嶽眞君上紫微[서악진군상자미] : 서악의 진군께서 자미궁에 오르시니 百靈奔走備威儀[백령군주비위의] : 뭇 신령들 분주하게 위의를 갖추네. 三淸秘訣無傳授[삼청비결무전수] : 삼청경의 비결을 전해 받지 못하고 偸寫天章半夜歸[.. 李達 2018.02.05
步虛詞[보허사] 八首[8수]-5 步虛詞[보허사] 八首[8수]-5 蓀谷 李達[손곡 이달] 其五 玉簡金書道籙通[옥간금서도록통] : 옥간과 금서로써 책의 이치 알리고 紫皇新下蕋珠宮[자황신하전주궁] : 자황께서 예주궁에 새로이 내리시네. 仙官列侍排龍虎[선관렬시배룡호] : 선관이 벌려 서고 용과 호랑이 배열하여 盡.. 李達 2018.02.05
步虛詞[보허사] 八首[8수]-4 步虛詞[보허사] 八首[8수]-4 蓀谷 李達[손곡 이달] 其四 仙島焚香禮玉虛[선도분향례옥허] : 신선의 섬에 향 사르며 옥허궁에 절하니 紫麟催駕五雲車[자린최가오운거] : 자색 기린 어거하여 오운거를 재촉하네. 西宫侍女多嬌笑[서궁시녀다교소] : 서궁의 시녀들은 애교있는 미소가 많아 .. 李達 2018.02.04
步虛詞[보허사] 八首[8수]-3 步虛詞[보허사] 八首[8수]-3 蓀谷 李達[손곡 이달] 其三 王母雲車五色麟[왕모운거오색린] : 서왕모의 구름 수레와 오색 기린을 白鸞前導向西巡[백란전도향서순] : 흰 난새가 앞장서 서쪽 향해 순행하네. 天章曉奏虛皇殿[천장효주허황전] : 하늘 글을 동틀 무렵 허황전에 아뢰니 仙桂花開八.. 李達 2018.02.04
步虛詞[보허사] 八首[8수]-2 步虛詞[보허사] 八首[8수]-2 蓀谷 李達[손곡 이달] 其二 靑童結伴婉凌華[청동결반완릉화] : 청의 동자 완릉화와 짝을 맺어서 夜下三洲小玉家[야하삼주소옥가] : 한밤에 내려간 삼산의 소옥의 집. 閑說紫陽宮裏事[한설자양궁리사] : 자양궁 안의 일을 한가히 얘기하고 玉階偸折碧桃花[옥계.. 李達 2018.02.04
步虛詞[보허사] 八首[8수]-1 步虛詞[보허사] 八首[8수]-1 蓀谷 李達[손곡 이달] 其一 三角峨峨鬢上綃[삼각아아빈상소] : 삼각산처럼 높고 높은 귀밑털 위의 건 散垂餘髮過纎腰[산수여발과섬요] : 풀어 늘인 남은 머리 가는 허리 지나네. 須臾宴赴西王母[수유연부서왕모] : 잠시 잠깐 서왕모가 잔치에 나아가.. 李達 2018.02.04
撲棗謠[박조요] 撲棗謠[박조요] 蓀谷 李達[손곡 이달] 대추 터는 노래 隣家小兒來撲棗[인가소아래박조] : 이웃 집 어린 아이 대추 터는데 왔는데 老翁出門驅小兒[노옹출문구소아] : 늙은 노인 문을 나서며 아이를 쫓는구나. 小兒還向老翁道[소아환향노옹도] : 꼬마애가 늙은이 향해 돌아서서 말하길 不及.. 李達 2018.02.02
拾穗謠[습수요] 拾穗謠[습수요] 蓀谷 李達[손곡 이달] 이삭 줍는 노래 田間拾穗村童語[전간습수촌동어] : 밭 사이에서 이삭을 줍던 시골 아이 하는말 盡日東西不滿筐[진일동서불만광] : 온 종일 동서로 다녀도 바구니가 차지 않네. 今歲刈禾人亦巧[금세예화인역교] : 요즘에는 벼를 베는 사람들 모두 공교.. 李達 2018.02.02
降仙曲[강선곡]次靑澗亭韻[차청간정운] 降仙曲[강선곡]次靑澗亭韻[차청간정운] 蓀谷 李達[손곡 이달] 신선이 내리는 노래 청간정 운을 차하여 三洲碧桃結千歲[삼주벽도결천세] : 삼주의 푸른 복숭아 천 년만에 맺으니 半白? 鸞來一雙[반백 ? 란래일쌍] : 반 백의 ?붉은 난새 한쌍이 오는구나. 中天仙節降王母[중천선절강왕모] : .. 李達 2018.0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