送人[송인] 鄭知常[정지상]
雨歇長堤草色多[우헐장제초색다] : 비가 개인 긴 둑에 풀 색은 아름다운데
送君南浦動悲歌[송군남포동비가] : 님 보내는 남포엔 슬픈 노래 시작하네.
大同江水何時盡[대동강수하시진] : 대동강 물은 어느 때나 다 마를런지 ?
別淚年年添綠波[별루년년첨록파] : 이별의 눈물이 해마다 푸른 물결에 더해지네.
위 시는 지은이가 기록되지 않은채 東文選[동문선] 19권(1478간행) 七言絶句[칠언절구]에
送人[송인]이라는 제목으로 기록 되어 있는데,
1629년 간행된 申欽[신흠]의 象村稿[상촌고] 52권 漫稿下[만고하] 晴窓軟談[청창연담]에
麗朝學士鄭知常詩曰[려조학사정지상시왈] : 고려 시대 학사 정지상의 시에 이르길....
또 1647년 간행된 梁慶遇[양경우]의 霽湖集[제호집] 9권에는
浮碧樓板上有鄭知常絶句[부벽루판상정지상절구] : 부벽루 현판위에 정시상의 절구가 있다.
한국 역대의 시가를 모은 大東詩選[대동시선]에는 제목이 大同江[대동강]으로 실려 있슴.
'한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平壤大同江樓船[평양대동강루선] 次鄭知常韻[차정지상운] 三首 (0) | 2015.04.07 |
---|---|
次大同江樓船韻[차대동강루선운] 李克堪[이극감] (0) | 2015.04.07 |
尋僧[심승] 李庭龜[이정구] (0) | 2015.04.05 |
和晉陵陸丞早春遊望[화진릉육승조춘유망] 杜審言[두심언] (0) | 2015.03.30 |
권토중래 (0) | 2015.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