隱寂尋僧[은적심승] 李庭龜[이정귀]
스님을 찾아
石逕崎嶇杖滑苔[석경기구장활태] : 돌길은 험난하여 지팡이는 이끼에 미끄러지고
淡雲疎磬共徘徊[담운소경공배회] : 엷은 구름과 먼 경쇠소리가 함께 떠도는구나.
沙彌叉手迎門語[사미차수영문어] : 사미승이 손을 깍지끼고 문에서 맞으며 하는 말이
師在前山宿未回[사재전산숙미회] : 앞 산에 계신 스님은 자고 아니 돌아왔다네.
李廷龜[이정귀 :1564-1635] 자는 聖徵[성징],호는 月沙[월사]
象村 申欽[상촌 신흠], 谿谷 張維[계곡 장유], 澤堂 李植[택당 이식]과 더불어 月象谿澤[월상계택]으로 불리며 선조 중기의 4대 文章家[문장가]로 일컬음.
월사집 16권 倦應錄 上[권응록 상] 橘屋四詠。次壁上韻。爲尹正郞景說作
橘屋四詠[귤옥사영]. 벽에 적힌 시에 차운하여 정랑(正郞) 윤경열(尹景說)을 위해 지은 것중 4번째.
'한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次大同江樓船韻[차대동강루선운] 李克堪[이극감] (0) | 2015.04.07 |
---|---|
送人[송인] 鄭知常[정지상] (0) | 2015.04.07 |
和晉陵陸丞早春遊望[화진릉육승조춘유망] 杜審言[두심언] (0) | 2015.03.30 |
권토중래 (0) | 2015.03.27 |
春女怨[춘녀원] 薛維翰[설유한] (0) | 2015.03.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