夕訪農舍[석방농사] 朴齊家[박제가]
저녁에 농장을 찾다.
片白田閒水[편백전한수] : 조금 밝아 물에서 한가히 사냥하니
針魚匿馬蹏[침어약마제] : 가시 물고기 말 발굽에 숨는구나.
蜻蜓還邁邁[청정환매매] : 잠자리는 도리어 멀리 지나가고
鴻雁亦捿捿[홍안역처처] : 기러기들은 또 쉬려고 깃드네.
歧路心猶豫[기로심유예] : 갈림길에 마음은 이미 망설이고
幽憂醉似泥[유우위사니] : 깊은 근심에 진흙 같이 취하였네.
瓜牛廬畔夕[과우려반석] : 오두막 집에 밤이 떨어지니
人在月弦西[인재월현서] : 사람들 서쪽 초승달 살펴보네.
農舍[농사] : 농부의 집, 농장.
針魚[침어] : 학꽁치.
蜻蜓[청정] : 잠자리.
鴻雁[홍안] : 큰 기러기와 작은 기러기.
醉似泥[취사니] : 몸을 가누지 못하게 취함.
瓜牛廬[과우려] : 瓜牛[과우], 蝸牛[와우], 달팽이 집 같은 오두막집.
貞蕤閣初集[정유각초집] 詩[시]
朴齊家[박제가 1750- 1805] : 자는 次修[차수]·在先[재선]·修其[수기],
호는 楚亭[초정]·貞蕤[정유]·葦杭道人[위항도인]
조선 후기 국가경제체제의 재건을 논했던 북학파의 일원.
공리공담을 일삼던 주자학적 사상계와 풍수도참설에 비판적이었다.
'박제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次杜示李宜菴[차두시이의암]6-1 (0) | 2024.02.26 |
---|---|
九日次杜[구일차두] (2) | 2024.02.22 |
舟行襍絶[주행잡절] 8-8 (0) | 2024.02.16 |
舟行襍絶[주행잡절] 8-7 (1) | 2024.02.13 |
舟行襍絶[주행잡절] 8-6 (2) | 2024.02.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