石江十詠[석강십영]2
爲曹上舍雲伯[위조상사운백] 駿龍[준룡] 作[작]
退溪 李滉[퇴계 이황]
석강의 열 곳을 읊어 운백 조준룡 상사를 위해 짓다.
爽地山光裏[상지산광리] : 상쾌한 땅은 산 빛을 받아들이고
虛亭水色中[허정수색중] : 빈 정자에는 강물 빛이 가득하네.
拓窓分竹日[척창분죽일] : 열린 창엔 해가 대나무를 나누고
垂箔護蘋風[수박호빈풍] : 드리운 발이 부들 바람을 지키네.
漁事隣家共[어사린가공] : 고기 잡는 일 이웃 집과 함께하고
農談野老同[농담야로동] : 농사 이야기 들판 노인 함께하네.
人間豈無樂[인간기무락] : 사람 사이에 어찌 즐거움 없을까
此樂獨無終[차락독무종] : 이 즐거움 오직 끝남이 없구나.
退溪先生文集卷之二[퇴계선생문집2권] 詩[시]
한국고전번역원ㅣ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ㅣ1989
李滉[이황 : 1501-1570] : 본관은 眞城[진성], 자는 景浩[경호],
호는 退溪[퇴계], 退陶[퇴도], 陶搜[도수].
주자성리학을 심화, 발전시킨 조선의 유학자.
'이 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石江十詠[석강십영]4 (0) | 2024.03.07 |
---|---|
石江十詠[석강십영]3 (0) | 2024.03.04 |
石江十詠[석강십영] 1 (1) | 2024.02.24 |
與李大用上舍[여이대용상사]同登寓舍後岡[동등우사후강] (0) | 2024.02.21 |
書徐處士花潭集後[서서처사화담집후] 三首[3수]-3 (1) | 2024.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