石江十詠[석강십영]1
爲曹上舍雲伯[위조상사운백] 駿龍[준룡] 作[작]
退溪 李滉[퇴계 이황]
석강의 열 곳을 읊어 운백 조준룡 상사를 위해 짓다.
自讀石江詠[자독석강영] : 석강의 시가를 몸소 읽어보니
憐君同我情[연군동아정] : 그대 나와 정취 함께함 사랑하네.
園從塵外卜[원종진외복] : 동산은 티끌 밖을 헤아려 따르고
家向水邊成[가향수변성] : 집은 강물 가에 이루어 길잡았네.
有趣孤棲樂[유취괴서락] : 넉넉한 풍취에 외로운 집 즐겁고
無求萬事輕[무구만사경] : 구할 것 없으니 모든일이 가볍네.
五侯池館勝[오후지관승] : 다섯 제후의 못과 집이 뛰어난들
爭比此間淸[쟁비차간청] : 어찌 이 사이의 한가함을 비길까.
退溪先生文集卷之二[퇴계선생문집2권] 詩[시]
한국고전번역원ㅣ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ㅣ1989
李滉[이황 : 1501-1570] : 본관은 眞城[진성], 자는 景浩[경호],
호는 退溪[퇴계], 退陶[퇴도], 陶搜[도수].
주자성리학을 심화, 발전시킨 조선의 유학자.
'이 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石江十詠[석강십영]3 (0) | 2024.03.04 |
---|---|
石江十詠[석강십영]2 (2) | 2024.02.27 |
與李大用上舍[여이대용상사]同登寓舍後岡[동등우사후강] (0) | 2024.02.21 |
書徐處士花潭集後[서서처사화담집후] 三首[3수]-3 (1) | 2024.02.18 |
書徐處士花潭集後[서서처사화담집후]2 (0) | 2024.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