囉嗊曲[나홍곡] 6수 劉采春[유채춘] 唐
不喜秦淮水[불희진회수] : 진회의 강물은 즐겁지 아니하고
生憎江上船[생증강상선] : 강물 위의 배들은 얄밉기만 하네요.
載兒夫婿去[재아부서거] : 아이같은 낭군님 싣고 가버려
經歲又經年[경세우경년] : 해가 가고 또 한해가 지나가네.
秦淮 : 南京[남경]을 지나 양자강으로 흐르는 운하. 秦[진] 때에 만들고 양쪽 기슭은 유람지로 유명함.
夫婿 : 남편(낭군).
借問東園柳[차문동원류] : 동쪽 언덕의 버드나무에게 묻나니
枯來得幾年[고래득기년] : 마른나무가 된지 얼마나 되었는지.....
自無枝葉分[자무지엽분] : 가지와 잎들도 절로 떨어져 없으니
莫恐太陽偏[막공태양편] : 햇볕이 심하게 비쳐도 두려움이 없겠구나.
莫作商人婦[막작상인부] : 상인의 아내는 되지말지니
金釵當蔔錢[금채당복전] : 금비녀로 무우 값을 치르네요.
朝朝江口望[조조강구망] : 매일 아침 강 어귀를 바라보자니
錯認幾人船[착인기인선] : 몇번이나 사람과 배를 잘못 알아보는지.
那年離別日[나년이별일] : 어느 해 이별하던 날
隻道住桐廬[척도주동려] : 님은 동려에서 살자했지요.
桐廬人不見[동려인불견] : 동려엔 그사람 보이지 않더니
今得廣州書[금득광주서] : 오늘 광주에서 편지가 도착했네요.
隻[척] : 새한마리 척, 짝. 只[지]로 표기된 곳도 있으나 이의 뜻도 짝.
昨日勝今日[작일승금일] : 어제가 오늘보다 좋았지만
今年老去年[금년노거년] : 올해도 다갔으니 내년이구나.
黃河淸有日[황하청유일] : 황하도 맑게 되는 날 있으리니
白發黑無緣[백발흑무연] : 까닭없이 검은것이 희어지기 시작하네.
昨日北風寒[작일북풍한] : 어제는 북풍이 싸늘하게 불더니
牽船浦里安[견선포리안] : 마을 안 물가에 배들이 매여졌네요.
潮來打纜斷[조래타남단] : 조수가 밀려 들이쳐 닷줄이 끊어지고
搖櫓始知難[요노시지난] : 노가 흔들리니 비로소 어려움 알겠네요.
'한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閑居卽事[한거즉사] 李彦迪[이언적] (0) | 2015.02.03 |
---|---|
修竹[수죽] 李秀文[이수문] (0) | 2015.02.03 |
山居[산거] 李仁老[이인노] (0) | 2015.02.02 |
早秋[조추] 李梅窓[이매창] (0) | 2015.01.31 |
梅[매] 李承召[이승소] (0) | 2015.01.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