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龜亭八詠[삼귀정팔영] 3 張維[장유]
삼귀정의 여덟가지를 노래함.
縣里煙花[현리연화] : 마을에 연결된 봄 경치.
豐山古縣枕江濱[풍산고현침강빈] : 풍산(안동)의 오래된 고을은 강물 가에 임하고
亂後樓臺也自新[난후루대야자신] : 난리난 뒤로 누각과 대도 스스로 새로와졌구나.
歲歲煙花開爛熳[세세연화개란만] : 해마다 봄날의 경치 화려하게 빛나며 피어나니
風光渾似武陵春[풍광혼사무릉춘] : 풍광은 그야말로 무릉도원의 봄날을 닮았구나.
三龜亭[삼귀정] : 安東都護府[안동도호부] 豐山縣[풍산현] 서쪽 6리 지점에 있는 정자,
거북이 엎드린 모양의 암석 세 개가 있었으므로 그런 이름이 붙었다고 한다.
安東金氏[안동김씨] 소산마을 입향조인 金三近[김삼근]의 손자
金永銓[김영전, 1439-1522]선생이 지례현감으로 있던 1495년(연산군 1)에 지었다함.
煙花[연화] : 봄철의 景致[경치]. 春景[춘경].
歲歲[세세] : 해마다.
谿谷先生集卷之三十三 [계곡선생집33권] 七言絶句[7언절구]
한국고전번역원 |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 1992
張維[장유] : 1587-1638, 자는 持國[지국], 호는 谿谷[계곡]·默所[묵소]
검열, 대사간, 대사헌, 이조참판, 나주목사, 이조판서
'한시 봄' 카테고리의 다른 글
春分後雪[춘분후설] (1) | 2022.12.15 |
---|---|
三月三十日[삼월삼십일] (2) | 2022.12.08 |
寶泉灘卽事[보천탄즉사] (1) | 2022.11.29 |
聞李忠原道章棄官寄詩[문이충원도장기관기시] (0) | 2022.11.29 |
敬占絶句錄呈棠幕[경점절구록정당막] 3 (0) | 2022.11.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