寶泉灘卽事[보천탄즉사] 2수 金宗直[김종직]
보천탄에서
桃花浪高幾尺許[도화랑고기척허] : 복숭아 꽃 물결 높이가 몇 자나 불어났을까
狠石沒頂不知處[한석몰정부지처] : 양 모양 돌 머리 잠겨 어디 있는지 모르겠네.
兩兩鸕鶿失舊磯[양량로자실구기] : 둘씩 짝을진 가마우지 예전의 여울을 잃고
銜魚飛入菰蒲去[함어비입고포거] : 물고기 입에 물고 부들 섶에 날아 드는구나.
寶泉灘[보천탄] : 1, 경남 함양에 있던 여울 이름.
2, 海平縣[해평현, 선산 구미] 서쪽 5리쯤에 있는낙동강 나루터.
桃花浪[도화랑] : 복사꽃이 필 무렵 개천물이 불어 일렁이는 물결.
도화랑이 일 때면 龍門[용문]에서 잉어가 뛰어오르는데
넘으면 용이 되며 용이 될 때에는 우레가 고기의 꼬리를 불태워 없앤다고 한다.
狠石[한석] : 생긴 모양이 마치 엎드린 羊[양]처럼 생긴 돌.
江邊宕子何日到[강변탕자하일도] : 강가의 방탕한 남자는 어느 날에나 이를까
商婦空依柁樓老[상부공의타루로] : 장사꾼 아내 헛되이 타루에 기대 늙어가네.
挾岸萋萋送暖香[협안처처송훤향] : 무성한 양쪽 언덕 부드러운 향기 보내오고
來牟亦是王孫草[내모역시왕손초] : 밀과 보리도 또한 무릇 왕손의 풀들이라오
柁樓[타루] : 배의 키를 잡는 선실의 다락.
萋萋[처처] : 풀이 무성하다, 우거지다.
來牟[내모] : 밀과 보리.
王孫草[왕손초] : 향기가 많은 약초. 멀리 떠난 사람에 대한 그리움을 표현할 때 쓰는 말,
漢[한] 나라 淮南[회남] 小山[소산]의 招隱士[초은사]에,
"王孫遊兮不歸[왕손유혜불귀] : 왕손은 노닐면서 돌아오지 않고,
春草生兮萋萋[춘초생혜처처] : 봄풀은 나서 무성하구나." 한 데서 온 말.
佔畢齋集卷之十九[점필재집19권] 詩[시]
1789년 간행.
金宗直(김종직) 1431 – 1492
'한시 봄' 카테고리의 다른 글
三月三十日[삼월삼십일] (2) | 2022.12.08 |
---|---|
三龜亭八詠[삼귀정팔영] 3 縣里煙花[현리연화] (0) | 2022.12.01 |
聞李忠原道章棄官寄詩[문이충원도장기관기시] (0) | 2022.11.29 |
敬占絶句錄呈棠幕[경점절구록정당막] 3 (0) | 2022.11.28 |
舟中作[주중작] (0) | 2022.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