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월당 김시습

麗春花[여춘화]

돌지둥[宋錫周] 2023. 10. 14. 16:47

麗春花[여춘화]   金時習[김시습]

양귀비 꽃

 

千苞的皪小園東[천포적력소원동] : 무성하게 우거져 밝게 빛나는 동쪽 정원 좁은데

天遣司花別致工[천견사화별치공] : 하늘이 보내 지키는 꽃 장인이 이르러 나누었네.

不如米囊偏有種[불여미낭편유종] : 쌀 주머니만 못해도 마침내 넉넉하게 심었으니

肯同紅藥謾多叢[긍동홍약만다총] : 함께 즐기는 붉은 아편이 아득히 많이 모였구나.

腰纖可笑嬌無力[요섬가소교무력] : 가는 허리 어처구니 없게 힘도 없이 아리따운데

命薄堪嗟色是空[명박감탄색시공] : 박한 운명 참고서 색은 무릇 헛것임을 탄식하네.

日暮扶頭誰得似[일모부득수득사] : 날 저물어 떠받친 머리는 누구를 알아 닮았을까

麗華中酒倚春風[여화중주의춘풍] : 술자리 가운데의 여화가 봄 바람에 의지하는구나.

 

的皪[적력] : 희고 선명하다, 밝게 빛나다.

米囊[미낭] : 쌀 자루, 米囊花[미닝화], 양귀비.

麗華[여화] : 張麗華[장려화, 559-589], 남북조 시대 남진의 후궁.

    582년부터 589년까지 진숙보]의 배우자로 재위. 남진의 후궁 貴妃 張氏[귀빈 장씨]로 불림.

    자주 결기각 위에 기대고 있으면 선녀가 인간세상에 하강한 것 같았다라고 한다.

    정명 3년(589년) 수나라 군대가 입성하자 진숙보와 함께 숨었다가 수군에게 참살되었다.

 

梅月堂詩集卷之五[매월당시집5권] 詩[시] 花草[화초]

金時習[김시습,1435-1493] : 자는 悦卿[열경].   

  호는 梅月堂[매월당], 東峰[동봉], 碧山淸隠[벽산청은], 贅世翁[췌세옹]

  단종이 세조에게 양위할 때 크게 충격을 받아 실의하여

  머리를 삭발하고 중이 되어 山水間에 방랑하며 절의를 지킴. 

  生六臣의 한 사람. 조선초기의 문인 (소설가).

'매월당 김시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金錢花[금잔화] 二首[2수]  (0) 2023.10.20
寒鴉栖復驚[한아서부경]  (0) 2023.10.17
榴花[유화]  (0) 2023.10.09
循岸徐步[순안서보]  (0) 2023.10.05
登酒泉縣樓[등주천현루]  (0) 2023.1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