除夜[제야]宿匡陸有作[숙광륙유작] 李奎報[이규보]
섣달 그믐 밥에 광릉 땅에 숙직하며 짓다.
神岳苦寒誰更惜[신악고한수갱석] : 신령한 송악 심한 추위 누가 다시 가엾게 여기랴
冬至祭宿松岳苦寒[동지제숙송악고항] : 동지 제사에 숙직할 때 송악이 몹시 추웠다.
匡陵守歲自猶咍[광릉수세자유해] : 광릉에서 밤 새우며 오히려 스스로 비웃는구나.
靑衫大祝人休笑[청삼대축인휴소] : 남빛 도포의 대축하는 사람이라 웃지를 말라
每賭新詩一首迴[매도신시일수회] : 매양 새로운 시 내기하면 하나같이 머리 돌리네.
以微官常爲祝史[이미관상위축사] : 낮은 벼슬에 있으면서 늘 祝史[축사]가 되었었다.
守歲[수세] : 섣달 그믐 날 밤에 집안 구석구석을 밝히고 가족이 둘러 앉아 온 밤을 새우는 풍습.
東國李相國全集卷第十[동국이상국전집10권] 古律詩[고율시]
李奎報[이규보, 1168-1241] : 자는 春卿[춘경], 호는 白雲居士[백운거사]
권력에 아부한 지조 없는 문인이라는 비판이 있으나
우리 민족에 커다란 자부심을 갖고 외적의 침입에 대해
단호한 항거정신을 가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李奎報' 카테고리의 다른 글
戱作雨中小牡丹歌[희작우중소모란가] (1) | 2023.10.25 |
---|---|
早春[조춘] (1) | 2023.10.20 |
讀林椿詩[독임춘시] (0) | 2023.10.12 |
溫上人所蓄獨畫鷺鷥圖[온상인소축독화로사도] (1) | 2023.10.09 |
沙平江上偶吟[사평강상우음] (0) | 2023.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