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過吉先生閭[과길선생려] 癸巳[계사 :1533, 33세] 李滉[이황]
길재선생의 정려를 지나며
야은 길재선생이 고려가 망함을 느끼고 선산의 금오산 낙수[낙동강]에 은거함에
후에 나라에서 정려를 내려줌.
朝行過洛水[조행과낙수] : 아침에 길을 나서 낙수를 지나니
洛水何漫漫[낙수하만만] : 낙수는 어이 그리 멀고 지루한지
午憩望鰲山[오게망오산] : 한낮엔 쉬면서 금오산을 바라보니
鰲山鬱盤盤[오산울반반] : 오산은 구불구불하니 울창하구나.
淸流徹厚坤[청류철후곤] : 맑게 흐르는 물 두터운 땅을 통하고
峭壁凌高寒[초벽능고한] : 가파른 절벽은 오싹하게 높구나.
有村名鳳溪[유촌명봉계] : 마을이 있으니 봉계라 이름하고
乃在山水間[내재산수간] : 더구나 산과 물 사이에 있구나.
先生晦其中[선생회기중] : 선생께서 그 속에 숨으셨으니
表閭朝命頒[표려조명반] : 조정에서 명을 반포하여 정려를 표하였네.
大義不可撓[대의불가요] : 대의가 가히 흔들리지 않음을
豈曰辭塵寰[기왈사진환] : 어찌 티끌세상을 사양해서라 말하리오.
千載釣臺風[천재조대풍] : 천년의 조대의 풍속이여
再使激東韓[재사격동한] : 또다시 동한땅에 떨치게 되는구려.
扶持已無及[부지이무급] : 견디어 내어 함께하기 이미 어려워도
植立永堅完[치립영견완] : 뜻이 똑바로 서 영원히 굳고 온전하구나.
丈夫貴大節[장부귀대절] : 장부는 큰 절개를 귀히 여기니
平生知者難[평생지자난] : 평생 이를 알게함이 어렵다네.
嗟爾世上人[차이세상인] : 세상 사람들 이를 감탄하여
愼勿愛高官[신물애고관] : 삼가하여 높은 관리를 탐내지 말지니
洛水[낙수] : 낙동강 물.
退溪先生文集卷之一[퇴계선생문집 1권] 詩[시] 1843년 간행본 인용
'이 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矗石樓[촉석루] (0) | 2015.06.27 |
---|---|
月影臺[월영대] (0) | 2015.06.26 |
晩步[만보] (0) | 2015.03.20 |
陶山月夜[도산월야] 詠梅[영매] 六首-6 李滉[이황] (0) | 2015.03.16 |
陶山月夜[도산월야] 詠梅[영매] 六首-5 (0) | 2015.03.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