警疇孫[경주손] 宋時烈[송시열]
손자 주석을 일깨우다.
三戒常相警[삼계상상계] : 삼계로 항상 서로를 일깨웠지만
嗟今聽此行[차금청차행] : 슬프게도 지금 이 고행 들어주네.
誰知不得已[수지부득이] : 누가 마지못해 하는 수 없음 알까
相識亦且驚[상식역차경] : 아는 사람들도 또한 장차 놀라네.
鐵石心腸幾[철석심장기] : 솨와 돌 같은 심장은 얼마일까나
床帷性命輕[상유성명경] : 침상 휘장에 성명도 가벼이하네.
吾言如勿忘[오언여물망] : 나의 말을 만약 잊지 않는다면
須不誤平生[수불오평생] : 마땅히 평생을 그르치지 않으리라.
三戒[삼계] : 공자가 제시한 세가지 경계.
젊을 때는 혈기가 아직 정해지지 않은 때이므로
경계해야 할 것이 여색에 있고,
장성해서는 혈기가 한창 강한 때이므로
경계해야 할 것이 싸움에 있고,
늙어서는 혈기가 이미 쇠한 때이므로
경계해야 할 것이 욕심에 있다라고 한 것.
相識[상식] : 서로 안면이 있음.
性命[성명] : 사람의 천성과 천명.
宋子大全卷二[송자대전2권] 詩[시]○五言律[오언률] (1607-1689)
한국고전번역원 |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 1993
'송시열' 카테고리의 다른 글
次疇孫開字韻[차주손개자운] (0) | 2024.03.12 |
---|---|
次疇孫韻[차주손운] (2) | 2024.03.06 |
次疇孫石南寺見寄韻[차주손석남사견기운] (1) | 2024.02.27 |
戊午八月夜吟成二律[무오팔월야음성이율]2 (0) | 2024.02.24 |
戊午八月夜吟成二律[무오팔월야음성이율] (0) | 2024.0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