無題[무제] 王梵志[왕범지]
제목 없음.
吾富有錢時[오부유전시] : 내가 부유하여 때마침 돈이 넉넉하니
婦兒看我好[부아간아호] : 아내와 아이 나를 사이좋게 바라보네.
我若脫衣裳[아약탈의상] : 내가 만약에 웃 옷과 바지를 벗으면
與吾疊袍袄[여오첩포오] : 더불어 나의 웃옷과 도포를 포개었지.
吾出經求去[오출경구거] : 내가 나가 일찍 힘써 거두러 나가면
送吾卽上道[송오즉상도] : 나아가 길 위에서 나를 전송하였네.
將錢入舍來[장전입사래] : 또한 돈을 들고서 집으로 돌아오면
見吾滿面笑[견오만면소] : 나를 보며 얼굴에 웃음이 가득하네
繞吾白鴿旋[효오백합선] : 나를 둘러싸고 흰 비둘기처럼 돌고
恰似鸚鵡鳥[흡사앵무조] : 흡사 사람 말 흉내내는 앵무새 같네.
邂逅暫時貧[해후잠시빈] : 우연히 잠깐 사이에 가난을 만나니
看吾卽貌哨[간오즉모초] : 곧 비뚤어진 얼굴로 나를 바라보네.
人有七貧時[인유칠빈시] : 사람은 일곱번은 가난할 때가 있고
七富還相報[칠부환상도] : 일곱번은 부자로 서로 또 갚는다네.
圖財不顧人[도재불고인] : 재물 탐내어 사람은 돌보지 않으니
且看來時道[차간래시도] : 장차 깨닫고 돌아 올 때를 바라보리.
王梵志[왕범지 : 약 590-660]
禪僧[선승]이 시를 통해
대놓고 부유할 때와 가난한 경우를
대비한 예는 흔치 않습니다.
재물 앞에 각박해진 인정세태를
이렇듯 노골적으로 비판하는 건
자신이 세속의 명리와는
동떨어진 승려였기에
가능했는지 모르지요.
재물이 있고 없음에 따라
가족조차도 나를 대하는 태도가
수시로 표변할 수 있으니
극도로 가난했다가
큰 재물로 보상받아
부유해지기도 하는 게 인생이련만
재물만 탐하느라
사람을 돌보지 않는 세태가
시인의 눈에는 안쓰럽고 딱해보이네요.
종교적, 교훈적 효과에 가려
시적 흥취가 다소 퇴색되긴 했지만
그의 시는 일상 대화처럼
쉽고 친근한 어휘와 어투가 특징이다.
이 때문에 당시 많은 사원에서
초학자의 학습용으로 활용했다고 한다.
옷이 없어 날 추위에 떨게 하고,
먹을 게 없어 날 굶주리게 하느니
하늘이여 그대에게 날 돌려줄 테니,
태어나지 않은 그때로 돌아가게 해주오’처럼
자유분방하고 기발한 발상,
해학미 넘치는 풍자 등으로 해서
‘梵志體[범지체]’가 생겼고,
寒山[한산], 王維[왕유], 白居易[백거이] 등
적지 않은 시인들이 이를 답습했다.
'양만리,소식,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滕王閣[등왕각] (0) | 2022.12.12 |
---|---|
朝落空江[조락공강] (0) | 2022.12.07 |
石榴[석류] (0) | 2022.11.28 |
櫻桃[앵도] (0) | 2022.11.22 |
花影[화영] (1) | 2022.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