烏夜啼[오야제] 李煜[이욱]
오야제
昨夜風兼雨[작야풍겸우] : 어젯밤에는 비와 바람이 함께하더니
簾幃颯颯秋聲[염위삽삽추성] : 주렴과 휘장에 쏴아 소리 시름겹구나.
燭殘漏斷頻欹枕[촉잔루단빈의침] : 촛불 가물 가물 밤이 깊어져 베개에 자주 기대고
起坐不能平[기좌불능평] : 일어났다 앉았다 능히 편안하지 못하네.
世事漫隨流水[세사만수류] : 세상의 온갖 일 흐르는 강물 따라 난잡하고
算來一夢浮生[산래일몽부생] : 셈하여 보니 덧없는 인생 하나의 꿈이구나.
醉鄉路穩宜頻到[취향로은의빈도] : 취한 경지의 길 편안하니 마땅히 자주 가느라
此外不堪行[차외불감행] : 이 밖에는 행하다 참아내지 못했네.
烏夜啼[오야제] : 樂曲[악곡] 이름. 남북조 때 南朝[남조] 劉宋[유송, 420-479]의
王儀慶[왕의경]이 처음 지었다고 함.
李煜[이욱, 937-978], 재위 961-975년, 오대십육국 남당의 마지막 황제.
자는 重光[중광]. 남당의 後主[후주].
이욱은 나라가 망할 위기에 처해있음에도 한가로운 시나 지으며
문화에만 관심을 쏟은 暗君[암군]으로 결국 송에 의해 무력침공을 받아
나라를 빼앗기고 죽지못해 살아가며 몰락한 왕족의 비운을 실컷 겪다가
(대신 자신의 서럽고 울적한 심정을 그 능란한 문학자질로 표현하여
명작으로 인정받는 시 몇 수는 남겼다) 마지막 남아있던 오월국이
송에 합병되던 바로 그 해 자신의 생일인 7월 7일,
송태종(송태조 동생)이 보내온 생일 축하주를 마신 후
칠전팔도(일곱번 구르고 여덟번 거꾸러짐)하여 죽었다.
漏斷[누단] : 深夜[심야, 깊은 밤], 漏[루]는 고대의 漏壺[누호,물시계].
醉鄉[취향] : 술이 거나하여 즐기는 별천지, 취한 경지.
'한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贈東峯[증동봉] 二首-2 (0) | 2024.10.28 |
---|---|
霜降[상강] (4) | 2024.10.22 |
癸巳八月十八日[계사팔월18일]4-4 (6) | 2024.09.30 |
有人以不除草不掃室嘲我戲吟[유인이부제초불소실조아희음] (0) | 2024.09.25 |
古詩十九首其四[고시십구수기사] (16) | 2024.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