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恒福

梧老數使人相問[오로수사인상문]

돌지둥[宋錫周] 2024. 5. 13. 05:42

梧老數使人相問[오로수사인상문]

不用簡牘而用口語[불용간독이용구어]

豈朝士多以簡書遇害[기조사다이간서우해]

有所徵而泯迹之意耶[유소징이민적지의야]

詩以戲之[시이희지]

白沙 李恒福[백사 이항복]

오리 노인이 자주 사람을 시켜 안부를 물으면서

편지를 사용하지 않고 말로만 전하였으니,

이것이 어찌 朝士[조사,조정 신하]들이 흔히

편지로 인하여 해를 입기 때문에

여기에 징계되는 바가 있어

자취를 없애려는 뜻이 아니겠는가.

시로써 장난하다.

 

口報平安信[구보평안신] : 입으로 무사히 잘 있다는 소식 알리며
何無折簡辭[하무절간사] : 어찌 편지로 결단하여 알리지 못하나.
時情喜窺密[시정희규밀] : 때마침 인정이 비밀 엿보기를 좋아해
公意在三思[공의재삼사] : 공의 뜻은 여러차례 생각함에 있구나.

 

梧老[오로] : 梧里[오리] 李元翼[이원익 : 1547-1634]의 호,

   본관은 全州[전주]. 자는 公勵[공려], 동부승지, 안주목사, 형조참판,

   지의금부사, 이조판서, 우의정, 좌의정, 영의정을 역임.

 

白沙先生集卷之一[백사선생집1권] 詩[시] 1629년 간행본 인용

한국고전번역원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1991

李恒福[이항복, 1556-1618] : 일명 鰲城大監[오성대감].

   자는 子常[자상], 호는 弼雲[필운]·白沙[백사]·東岡[동강].

'李恒福' 카테고리의 다른 글

梧老次韻[오로차운]又次却寄[우차각기] 3-2  (0) 2024.05.19
梧老次韻[오로차운]又次却寄[우차각기] 3-1  (0) 2024.05.16
題壁[제벽]  (0) 2024.05.09
初在東江[초재동강]  (0) 2024.05.06
秋日[추일]  (2) 2024.0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