有僧求詩[유승구시]次退溪韻[차퇴계운]
栗谷 李珥[율곡이이]
시를 구하는 중이 있어 퇴계의 운을 차하다.
五臺山上有禪龕[오대산산유선감] : 오대산에 오르니 좌선하는 감실이 있어
石底竽筒水味甘[석저우통수미감] : 돌 아래의 우통수는 맛이 달게 여겨지네.
早識此心元是佛[조식차심원시불] : 이 마음이 무릇 부처임을 일찍 알았다면
玉峯無竭不須參[옥봉무갈불수참] : 옥봉에서 끝 없이 결국 참선을 않았으리.
退溪[퇴계] : 李滉[이황, 1501-1570]의 호. 자는 景浩[경호].
竽筒水[우통수] : 율곡의 시 遊南臺西臺中臺[유남대서대중대]宿于上院[숙우상원]에
竽筒水在西臺水精菴[우통수재서대수정암] : 우통수는 서대의 수정암에 있다.
栗谷先生全書卷之一[율곡선생전서1권] 詩[시] 上 1
한국고전번역원 | 영인 표점 한국문집총간 | 1989
李珥[이이, 1536-1584] : 자는 叔獻[숙헌], 호는 栗谷[율곡].
'이 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贈沈景混[증심경곤]長源[장원] (0) | 2024.08.01 |
---|---|
次洪忍齋[차홍인재]淳熙院韻[순희원운] (0) | 2024.07.28 |
斗尾十詠[두미십영] 10 (5) | 2024.07.20 |
斗尾十詠[두미십영] 9 (0) | 2024.07.16 |
斗尾十詠[두미십영] 8 (5) | 2024.07.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