寒食疊韻[한식첩운] 東圃 金時敏[동포 김시민]
한식에 첩운을 쓰다.
詩成未必使人驚[시성미필사인경] : 시 짓는것 소홀하지 않으니 사람들 빠르게 따르고
酒熟還應有友迎[주숙환응유우영] : 술이 익으니 응당 많은 벗들을 맞이하여 돌아오네.
花動四鄰佳氣色[화동사린가기색] : 사방 이웃에 꽃피기 시작하니 빛과 기운 아름답고
雨連三日少風情[우연삼일소풍정] : 3 일 연이어 비가 내리니 풍치 있는 정회 적어지네.
疎簾隱映前山翠[소렴은영전산취] : 거칠은 주렴에 앞 산의 푸른 빛이 은은하게 비치고
高枕依俙遠澗聲[고침의희원간성] : 높은 베개에 기대니 희미한 산골물 소리 멀어지네.
同病槎翁那得致[동병사옹나득지] : 같은 병이든 나무베는 늙은이 어찌 알고 이르렀나
白頭相憶寸心明[백두상억촌심명] : 흰 머리되어 서로 생각하니 마음속 작은 뜻 밝구나.
疊韻[첩운] : 疊韻詩[첩운시], 母音[모음]이 같고 또 韻[운]이 같은 글자들끼리 모아
시구를 만들어서 짓는 시.
風情[풍정] : 風致[풍치]가 있는 情懷[정회].
隱映[은영] 은은하게 비침.
寸心[촌심] : 속으로 품은 작은 뜻.
東圃集卷之六[동포집6권] 詩[시]
'한시 봄' 카테고리의 다른 글
卽事[즉사] (0) | 2021.03.15 |
---|---|
春日感懷[춘일감회] (0) | 2021.03.12 |
春日偶吟[춘일우음] (0) | 2021.03.08 |
春江卽事[춘강즉사] 權尙夏[권상하] (0) | 2019.07.03 |
春日待人[춘일대인] 宋希甲[송희갑] (0) | 2018.09.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