口號[구호] 李恒福[이항복]
구호, 입으로 읊다.
諸公袞袞登臺省[제공곤곤등대성] : 권세 많은 분들은 끊임 없이 청요직에 오르는데
匹馬關山我獨歸[필마관산아독귀] : 나만 외로이 한 필의 말로 관문의 산으로 돌아가네.
蘇武看羊北海上[소무간양북해상] : 소무는 북해로 올라가 양이나 헤아리고 있었는데
絶無書雁上林飛[절무서안상림비] : 건널 수 없어도 기러기 편지가 상림원을 나는구나.
袞袞[곤곤] : 끝이 없다. 많다, 권세가 대단하다.
臺省[대성] : 臺[대]는 臺院[대원], 殿院[전원], 察院[찰원] 등의 御史臺[어사대],
省[성]은 中書[중서], 尙書[상서], 門下[문하]의 3省[성], 곧 淸要職[청요직]
蘇武[소무] : 漢 武帝[한 무제] 때 소무가 匈奴[흉노]에 사신 갔다가 억류되어
그들의 항복 권유에 굽히지 않으므로 끝내 北海[북해] 가에 안치되었는데,
흉노는 소무에게 그 곳에서 羝[저 : 숫양]을 기르게 하면서
숫양이 새끼를 낳으면 한 나라로 돌려보내겠다고 하였다.
이렇게 19년을 지낸 뒤, 漢 昭帝[한 소제] 때에 흉노와 화친을 하게 되어,
한 나라에서 소무를 돌려보내라고 요구하자,
흉노는 거짓으로 소무가 죽었다고 핑계대었다.
그러자 뒤에 한 나라 사신이 흉노에 가서 漢人[한인] 常惠[상혜]의 계책에 따라,
흉노 선우에게 “천자가 上林苑[상림원]에서 사냥을 하다가 기러기를 잡았는데,
기러기의 발목에 비단에 쓴 帛書[백서 : 비단에 쓴 편지]가 매여 있었는바,
그 내용은 곧 소무 등이 아무 澤中[택중]에 있다는 사실이었다.”고 말함으로써,
마침내 소무가 한 나라로 돌아오게 되었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漢書 卷54[한서 54권].
白沙先生集卷之一
[백사선생집1권] 詩[시]
이항복[1556-1618].
'李恒福' 카테고리의 다른 글
德山驛[덕산역] (0) | 2021.09.11 |
---|---|
定平儒生等會于道左[정평유생회우도좌] (0) | 2021.09.07 |
宿安邊民家[숙안변민가] (0) | 2021.08.27 |
不寐[불매] (0) | 2021.08.23 |
始有三水之命[시유삼수지명]命改北靑[명개북청] (0) | 2021.08.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