黃臺瓜辭[황대과사] 李賢[이현]
種瓜黃臺下[종과황대하] : 황대 아래에 오이를 심었더니
瓜熟子離離[과숙자리리] : 오이가 익어 열매 또렸하구나.
一摘使瓜好[일적사과호] : 하나 따면 남은 오이 더 좋고
再摘令瓜稀[재적령과희] : 거듭 따가니 오이는 드물구나.
三摘尙自可[삼적상자가] : 세째는 오히려 절로 옳다 따니
摘絶抱蔓歸[적절포만귀] : 다 따면 덩굴만 안고 돌아가리.
李賢[이현 : 655-684]
황제를 꿈 꾸었던 武則天[무측천]은
唐 高宗[당고종]이 重病[중병]을 이유로 조정 대사를 일임하자
태자 李忠[이충]을 모반죄로 처결하고,
자신이 낳은 장남 李弘[이홍]을 태자로 책봉합니다.
허나 이홍은 측천무후의 폐위를 논하다
그녀의 눈밖에 나서 귀양보내지고 죽습니다.
그녀는 이에 둘째 친아들 李賢[이현]을 황태자로 봉합니다.
헌데 李賢[이현]은 똑똑했으니,
야심만만한 母后[모후] 곧 측천과 줄곧 갈등을 빚었고
측천무후는 그런 그가(친아들인데도!) 두려워
반란을 모의했다는 혐의를 씌우고 귀향보냅니다.
뿐만아니라 그녀는 자신의 둘째 친아들에게 자살을 강요합니다.
이에 이현이 위의 시를 지어 보낸 것이지요.
어떻게 어머니 된 사람이 자기 소생의 네 자식들을,
단순이 오이 하나 따고 또 하나 따듯이
죽이고 또 죽이냐는 겁니다.
농부여, 속음질도 정도껏 해야지
열매가 더 잘 자라는 법이라오.
죄다 다 따버리면 넝쿨만 남을것 아닌가.
全唐詩[전당시]에서는
자신의 생명보전을 우려해
이현이 대놓고 말은 못하고
이 가사를 지어 악공에게 노래로 만들게 했다.
모후가 노래를 듣고 각성하길 바라는 마음에서 였다
라는 기록이 있답니다.
그 뒤 이현은 모반죄로 몰려 목숨을 잃었고
삼남 이철과 사남 이단이 차례로 황위에 오르지만
측천이 황제로 추대되자 자리에서 내려왔지요.
그들은 15년 황좌를 지킨 측천이 쫒겨난 후에야
황위를 되찾습니다.
'한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偶成[우성] (0) | 2021.10.21 |
---|---|
哭具金化喪柩于楊州之山中[곡구김화상구우양주지산중] (0) | 2021.10.14 |
贈水鍾寺僧次漢陰韻[증수종사승차한음운] (0) | 2021.10.03 |
贈別[증별] (0) | 2021.09.26 |
默所銘[묵소명] (0) | 2021.09.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