題慶壽宴圖[제경수연도]-1 漢陰 李德馨[한음 이덕형]
경수연 그림에 쓰다.
次韻[차운] : 운을 차하여
洛社香山世共尊[낙사향산세공준] : 낙사와 향산의 모임은 세상이 함께 공경하니
眼中珠樹幾人存[안중주수기잉존] : 마음 속의 구슬 나무엔 몇 사람이나 다다를까?
事光前史徵餘慶[사광전사징여경] : 재능이 빛난 전의 역사가 자손의 경사를 부르고
榮動同朝感盛恩[영동동조감성은] : 같은 조정서 영화에 놀라며 풍성한 은혜 느꼈네.
鶴髮半酣春滿座[학발반감춘만좌] : 하얀 머리에 한창 취하니 봄빛 자리에 가득하고
貂冠齊舞月移樽[초관제물월이준] : 초관에 가지런히 춤추니 달빛이 술통에 옮기네.
更煩阿母傳新喜[갱번아모전신희] : 더욱 번거롭게 아모께서 새로운 기쁨을 전하고
東海蟠桃着子繁[동해반도착자번] : 동해 바다의 반도 열매가 번성하게 붙이 있네.
慶壽宴[경수연] : 長壽[장수]를 축하하기 위해 베푼 잔치.
洛社[낙사] : 나이 많은 명사들의 모임을 일컬음. 洛社耆英會[낙사기영회]
香山[향산] : 唐[당]나라 白居易[백거이]가 만든 香山九老會[향산구로회].
珠樹[주수] : 전설에 나오는 신선들의 거처에 있다는 나무.
餘慶[여경] : 남에게 좋은 일을 많이 한 보답으로 뒷날 그의 자손이 받는 경사.
同朝[동조] : 같은 조정, 같은 조정에서 벼슬함.
盛恩[성은] : 풍성한 은혜.
貂冠[초관] : 담비 가죽으로 만든 관.
阿母[아모] : 어머니를 정담게 이르던 말.
蟠桃[반도] : 삼천년에 한 번 열매가 열린다는 仙桃[선도].
漢陰先生文稿卷之二[한음선생문고2]詩[시]七言律[7언률]
李德馨[이덕형 : 1561-1613]
'한음 이덕형' 카테고리의 다른 글
題彰賜亭[제창사정] 1 (0) | 2024.08.14 |
---|---|
題慶壽宴圖[제경수연도]-2 (1) | 2024.07.23 |
送慶尙監司尹[송경상감사]2 (0) | 2024.07.04 |
送慶尙監司尹[송경상감사]昉[방] 1 (0) | 2024.06.27 |
申砥平[신지평] 景翼[경익] 灑然堂詠[쇄연당영] (0) | 2024.06.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