蟬唫三十絶句[선음삼십절구] 30-20
茶山 丁若鏞[다산 정약용]
매미를 읊어 30절구를 이루다.(1829년 연작시)
慢角纖纖響轉微[만각섬섬향전미] : 잘고 가냘픈 만각조 소리 작게 맴돌며 울리다
被風吹斷忽斜飛[피풍취단홀사비] : 등진 바람 불다 끊기니 갑자기 비껴 날아가네.
歡場害馬何須怨[환장해마하수원] : 기쁜 마당 해치는 말을 어찌 모름지기 원망하랴
重理前聲按玉徽[중리전성안옹휘] : 앞 소리 거듭 다스려 옥 현악기를 잡아당기네.
慢角[만각] : 慢角調[만각조], 완만한 각조.
각조는 宮[궁],商[상], 角[각], 徵[치], 羽[우] 오음 중 하나로서
淸濁高下[청탁고하]의 한 중간에 위치한 음.
玉徽[옥휘] : 옥으로 만든 현악기.
與猶堂全書[여유당전서]
第一集詩文集第六卷[제1집시문집제6권]
松坡酬酢[송파수작] 詩集[시집]
丁若鏞[정약용, 1762-1836] : 자는 美庸[미용],
호는 俟菴[사암] · 籜翁[탁옹] · 苔叟[태수] ·
紫霞道人[자하도인] · 鐵馬山人[철마산인] ·
茶山[다산], 당호는 與猶堂[여유당]이며, 시호는 文度[문도].
'茶山 丁若鏞' 카테고리의 다른 글
蟬唫三十絶句[선음삼십절구] 30-22 (2) | 2024.03.02 |
---|---|
蟬唫三十絶句[선음삼십절구] 30-21 (2) | 2024.02.27 |
蟬唫三十絶句[선음삼십절구] 30-19 (0) | 2024.02.22 |
蟬唫三十絶句[선음삼십절구] 30-18 (0) | 2024.02.19 |
蟬唫三十絶句[선음삼십절구] 30-17 (0) | 2024.0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