神僧藁俵[신승고표]
신령스런 스님의 가마니
村中一寡[촌중일과]
女食貧獨居[여식독거]
久守貞節故[구수정절고]
名聞傳於遠近[명문전어원근].
시골 마을에 한 과부가
가난하게 홀로 살고 있었는데,
그 여인은 오랫동안
정절을 지켰기 때문에,
이름이 원근에 전하여졌었다.
一日日已黃昏[일일일이황혼]
一老僧[일로승]
負鉢囊携錫杖[부발낭휴석장]
來叩柴扉[래고시비]
請泊一夜[청박일야]
하루는 날이 이미 저물었는데,
한 노승이
바랑을 지고 지팡이를 들고
와서 싸릿문을 두드리며
하룻밤을 자고 가기를 청하니
寡女出而言曰[과녀출이언왈]
"貧家無男子[빈가무남자]
我獨居一間房矣[아독거일간방의]
其勢難處[기세난처."
僧曰[승왈]
"日已昏黑[일이혼흑]
外無人家[외무인가]
以慈悲之心[이자비지심]
以賜一泊[이사일박]
則惠莫大焉[즉혜막대언]."
不得已許之後[부득이허지후]
과부가 나가서 말하기를
"가난한 집에 남자는 없고
저 홀로 방 한 칸에 살고 있어
형세 실로 난처합니다."하니,
스님이 말하기를,
"날은 이미 저물어 어둡고
밖에 인가가 없으니,
자비스런 마음으로
하룻밤을 허락하신다면
그 은혜가 실로 크겠습니다."하여,
부득이 허락한 후에,
以麥飯菜羹[이맥반채갱]
精潔供進[정결공진]
僧飢餘飽喫後[승기여포끽후]
臥於暖堗之下[와어난돌지하]
主女不解衣裳[주녀불해의상]
而臥於房上[이와어방상].
보리밥과 채소국을
깨끗이 하여 바치니
스님이 주린 끝에 배부르게 먹은 후
따뜻한 온돌 아랫목에 눕고
여자 주인은 의상을 벗지 않고,
방 윗목에 누웠다.
彼此難寢也[피차난침야]
僧睡熟中[승수숙중]
以脚伸掛於主女之脚上
[이각신괘어주녀지각상]
서로가 잠자리에 불편하여
잠들기 어려웠는데
스님이 깊이 잠이 들어
다리를 펴서 여주인의
다리 위에 올려놓으니
女以兩手[여이양수]
恭謹下捨,[공근하사]
少焉又伸其手[소언우신기수]
掛置於女主之胸上
[괘치어여주지흉상]
則女又以兩手[즉녀우이량수]
恭謹下捨[공근하사].
以困睡中如是也[이곤수중여시야]
여자가 양손으로
공손히 내려놓았는데
조금 있으니 또 손을 펴서
여주인의 가슴위에 올려놓으니
여자가 또 양손으로
공손하게 내려놓았다.
잠이 너무 곤하여
이러는 것이라 생각했다.
抵曉早起炊飯[저효조기취반]
淡泊進供[담박진공].
새벽이 되자
일찍 일어나 밥을 지어
담백한 아침을 드렸다.
僧食後[승식후]
請藁草數束[청고초수속]
而編一俵與之曰[이편일표여지왈]
"多蒙厚待[다몽후대]
玆以禮謝[자이례사]"
拂袖而去[불수이거]
不知所向[부지소향].
스님은 밥을 먹은 후
볏짚 몇 단을 달라고 하여,
가마니를 짜서 주며 말하기를,
"후한 대접을 많이 받았으므로
이것으로 사례를 하는 것이요."하며,
소매를 떨치고 가니
그 간 곳을 알지 못했다.
女見其俵內[여견기표내]
則異哉[즉이재]
白米滿俵故[백미만표고].
移入櫃內後[이입궤내후]
回看則又滿其俵[회간즉우만기표]
無時不滿[무시불만].
여자가 그 가마니 속을 보니
이상하게도
흰쌀이 가마니에 가득하였다.
쌀을 상자 속에 옮겨 넣은 후
돌아와 다시 보니
또 그 가마니 속에 가득하여
언제나
가득 차 있지 않을 때가 없었다.
自此忽成巨富[자차홀성거부]
隣村有多慾之寡婦一人
[인촌유다욕지과부일인]
聞此事[문차사]
自欲爲僧宿後[자욕위승숙후]
如此矣苦待僧來[야차의고대승래].
이로부터
갑자기 큰 부자가 되었는데
이웃 마을에 욕심이 많은
과부 한 사람이
이 소문을 듣고는 스스로
스님이 자고 가게 한 후에
이와 같이 되리라 생각하고는
스님이 오기를 고대하였다.
一日夕陽[일일석양]
老僧亦至請一泊[노승역지청일박]
寡女聞而卽許[과녀문이즉허],
하루는 석양무렵에
노승이 와서
루밤 자기를 청하거늘
과부는 그 말을 듣고
즉시 허락하고는
進夕飯後[진석반후]
共寢一房[공침일방]
女假眠而先以自脚
[여가면이선이자각]
掛僧之腹上[괘승지복상]
則僧以手靜而下捨.
[즉승이수정이하사]
女以手掛於僧之胸上
[여이수괘어승지흉상]
則僧亦如之[즉승역여지]
早朝女起炊供飯[조조여기취공반]
저녁밥을 대접한 후
함께 한 방에서 자는데
여인이 거짓으로 자는 체 하면서
먼저 자기 다리를
스님의 배 위에 걸치니
스님이 두 손으로
조용히 내려놓았다.
여인이 손을
스님의 가슴 위에 올려놓으니
스님이 또 전과 같이 하였는데
여인이 아침 일찍 일어나
밥을 지어 드리니
僧臨發果請藁[승임발과청고]
女大喜而持藁草來
[여대희지고초래]
僧亦編一俵與之[승역편일표여지]
告別而去[고별이거].
女細見其俵則[여세견기표즉]
怪哉陽物滿俵[괴재양물만표]
女不堪驚惧[여불감경구]
以釜蓋掩之[이부개엄지]
釜中亦滿故[부중역만고]
女氣如狂人[여기여광인].
스님이 출발에 임하여
과연 짚을 달라고 하자
여인이 크게 기뻐하며
볏짚을 가져오자
스님이 역시 가마니 하나를
엮어 주고는 떠나갔다.
여인이 그 가마니를 자세히 보니
괴상하게도 남자의 양물이
가마니 가득 있는지라
여인이 놀랍고 두려워
견딜 수 없어
솥뚜겅으로 덮으니
솥 가운데 가득하여
여인은 미칠 지경이 되었다.
抛棄井戶[포기정호]
則陽物濕水膨井[즉양물습수팽정]
而跳飛亂躍[이도비란약]
編滿家中[편만가중].
女悔其過慾[여회기과욕]
覺神僧之爲戒焉[각신승지위계언].
그래서 그것을
우물 속에 던져버렸는데
양물이 물이 불어서
우물에 가득하더니
양물이 어지러이 날뛰며
온 집안에 가득하였다.
여인은 자신의
지나친 욕심을 후회하고
신령스런 스님의
경계하심을 깨달았다.
'고금소총' 카테고리의 다른 글
撤訟落梯[철송낙제] (1) | 2022.09.29 |
---|---|
鬼棒變怪[귀봉변괴] (1) | 2022.09.22 |
陽物有垢(양물유구) (1) | 2022.09.08 |
稱醫取膿[칭의취농] (0) | 2022.03.27 |
鼠入其穴[서입기혈] (0) | 2022.03.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