澹園八詠[담원팔영] 朴趾源[박지원]
담원의 8가지를 읊다. 事見避暑錄[사견피서록] : 그 일은 피서록에 나타냄
來靑閣[내청각]
紅蕉綠石出東墻[홍초록석출동장] : 붉은 파초와 푸른 돌이 동쪽 담에 솟아 있고
一樹梧桐窈窕堂[일수오동요조당] : 오동나무 하나 심은 집은 그윽하고 조용하네.
傲骨平生迎送嬾[오골평생영송란] : 평생 강직한 성격에 게으르게 맞고 전송하다
丈人惟拜暮山光[장인유배모산광] : 어르신께선 오로지 저무는 산 경치에 절하네.
澹園[담원] : 중국인 郭執桓[곽집환]의 부친 郭泰峯[곽태봉, 호 錦納(금납)]의 거처.
곽집환(호, 繪聲園[회성원])은 홍대용이 1766년 북경에서 돌아오는 길에 교분을 맺게 된
그의 친구 鄧師閔([등사민, 호 汶軒[문헌])을 통해,
자신의 詩稿[시고]인 《繪聲園集[회성원집]》에 대한 조선 명사들의 서문과 아울러,
자기 아버니 거처인 澹園[담원]을 노래한 시를 지어 줄 것을 요청.
담원 팔영은 이에 호응하여 지은 시로,
유득공과 박제가 등도 같이 참여함. 泠齋集 卷1[영재집 1권]
곽집환에게 보낸 박제가의 편지에 의하면, 이는 영조 49년(1773)의 일로 짐작된다.
《貞蕤閣文集 卷4 與郭澹園 附答書》 避暑錄[피서록]은 《열하일기》에 실려 있다.
紅蕉[홍초] : 芭蕉科[파초과]에 딸린 여러해살이풀. 파초와 비슷한데 잎이 조금 작으며,
잎몸의 길이는 1~2m이고, 긴 잎꼭지가 있음.
傲骨[오골] : 강골, 강직한 성격, 대쪽같은 성격.
거만하여 남에게 굽히지 않는 성격, 그런 사람.
燕巖集卷之四[연암집권지4] 映帶亭雜咏[영대정잡영] 詩[시]
1932년 간행본 인용
朴趾源[박지원, 1737-1805] : 자는 仲美[중미], 燕巖[연암]. 정조 때의 문장가․실학자.
熱河日記[열하일기]를 통하여 중국 청나라의 문화를 알리고 개혁에 대하여 논함.
北學派[북학파]의 영수로 실학을 강조, 許生傳[허생전], 虎叱[호질], 燕巖集[연암집].
'한시 가을' 카테고리의 다른 글
江居謾吟[강거만음] (2) | 2023.07.08 |
---|---|
夜坐[야좌] (0) | 2023.06.30 |
涇州道中[경주도중] (0) | 2023.06.15 |
步出河上[보출하상]船渡立巖[선도립암]宿謙巖精舍[숙겸암정사] (0) | 2023.06.07 |
詠芭蕉[영파초] (0) | 2023.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