次思可望長城韻[차사가망장성운]
李珥[이이]
사가 목첨의 "장성을 바라보며" 운을 차하여
南臨鯨海北雲峯[남림경해북운봉] : 남쪽은 고래 바다에 임하고 뿍쪽은 구름 봉우리
客路逶遲勝槪中[객로위지승개중] : 나그네 길 뛰어난 경치 속에 구불 구불 더디구나.
胡馬每嘶幽薊草[호마매시유계초] : 오랑캐 말은 매양 울어대고 삽주 풀은 그윽한데
長城萬里爲誰雄[장성만리위수웅] : 만리에 길게 쌓은 성응 누가 씩씩하게 다스릴까.
思可[사가] : 睦詹[목첨, 1515-1593]의 자, 호는 時雨堂[시우당] 또는 逗日堂[두일당]
공조참의, 청홍도관찰사, 이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胡馬[호마] : 만주나 중국에서 나는 말.
栗谷先生全書卷之一[율곡선생전서1권] 詩[시] 上 1
한국고전번역원 | 영인 표점 한국문집총간 | 1989 栗谷 李珥 (1536-1584)
'이 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撫寧縣[무녕현]遇回還謝恩使丁公姜公[우회환사은사정공강공] (0) | 2023.11.07 |
---|---|
次思可聞諸公登城觀軍容韻[차사가문제공등성관군용운] (0) | 2023.10.31 |
次睦思可[차목사가] 詹[첨] 杏山客館韻[행산객관운] (0) | 2023.10.20 |
鴨江船上[압강선상] (1) | 2023.10.16 |
箕子殿[기자전] (0) | 2023.10.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