次思可聞諸公登城觀軍容韻[차사가문제공등성관군용운]
李珥[이이]
사가 목첨의 "제공과 성에 올라 군용을 바라보다" 운을 차하여
沙場一夕起妖氛[사장일석기요기] : 모래 사장에 하룻 저녁 불길한 기분 일더니
報道胡塵漲塞雲[보도호진창새운] : 오랑캐 티끌 변방 구름에 넘친다 알려 오네.
陴上豎旗喧鼓角[비상수기훤고각] : 성가퀴 위에 기를 세우니 북과 나팔 시끄럽고
將軍只解守城門[장군지해수성문] : 장군은 다만 성의 문을 지키려고 떠나가네.
思可[사가] : 睦詹[목첨, 1515-1593]의 자, 호는 時雨堂[시우당] 또는 逗日堂[두일당]
공조참의, 청홍도관찰사, 이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胡塵[호진] : 북방의 사막에서 일어나는 황진,
胡人[호인]의 兵馬[병마]에 의하여 일어나는 砂塵[사진].
栗谷先生全書卷之一[율곡선생전서1권] 詩[시] 上 1
한국고전번역원 | 영인 표점 한국문집총간 | 1989 栗谷 李珥 (1536-1584)
'이 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次思可三叉河韻[차사가삼차하운] (0) | 2023.11.13 |
---|---|
撫寧縣[무녕현]遇回還謝恩使丁公姜公[우회환사은사정공강공] (0) | 2023.11.07 |
次思可望長城韻[차사가망장성운] (1) | 2023.10.25 |
次睦思可[차목사가] 詹[첨] 杏山客館韻[행산객관운] (0) | 2023.10.20 |
鴨江船上[압강선상] (1) | 2023.10.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