次睦思可[차목사가] 詹[첨] 杏山客館韻[행산객관운]
李珥[이이]
사가 목첨의 행산객관의 운을 차하여
露砌蟲音細[노체충음세] : 이슬 내린 섬돌에 벌레 소리 드물고
風欞月影多[풍령월영다] : 바람부는 추녀에 달 그림자 아름답네.
難憑淸夜夢[난빙청야몽] : 맑은 밤의 꿈속에 의지하기가 어려워
歸釣鏡湖波[귀조경호파] : 돌아가 경포호의 물결에 낚시하리라.
思可[사가] : 睦詹[목첨, 1515-1593]의 자, 호는 時雨堂[시우당] 또는 逗日堂[두일당]
공조참의, 청홍도관찰사, 이조참판 등을 역임한 문신.
栗谷先生全書卷之一[율곡선생전서1권] 詩[시] 上 1
한국고전번역원 | 영인 표점 한국문집총간 | 1989 栗谷 李珥 (1536-1584)
'이 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次思可聞諸公登城觀軍容韻[차사가문제공등성관군용운] (0) | 2023.10.31 |
---|---|
次思可望長城韻[차사가망장성운] (1) | 2023.10.25 |
鴨江船上[압강선상] (1) | 2023.10.16 |
箕子殿[기자전] (0) | 2023.10.12 |
次松都大平館華使韻[차송도대평관화사운] 十首-10 (0) | 2023.10.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