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恒福

士人尹善道抗䟽言事[사인윤선도항소언사]

돌지둥[宋錫周] 2024. 12. 29. 09:03

士人尹善道抗䟽言事[사인윤선도항소언사]

因竄六鎭[인찬육진]道過洪原[도과홍원]

官妓趙生[관기조생]佩壺來慰[패호래위]

以此名聞洛下[이차명문락하]

今適過此[금적과차]寄宿其家[기숙기가]

不知主人爲趙也[부지주인조야]

翌日乃知[익일내지]戱吟一絶[희음일절]

李恒福[이항복]

士人[사인] 尹善道[윤선도]가 상소를 올려 일을 말했다가,

그로 인해 六鎭[육진]에 귀양가면서 洪原[홍원]을 지날 적에,

官妓[관기] 趙生[조생]이 술병을 가지고 가서 그를 위로하였으므로,

이 때문에 그의 이름이 서울에까지 알려졌었다.

그런데 지금 내가 여기를 지나다가 그의 집에 기숙하면서도

주인이 조생인 줄을 몰랐다가,

다음 날에야 알고는 장난 삼아 한 절구를 읊다.

 

曾於京口盛名傳[증어경구성명전] : 일찍이 한강 어구 까지 떨치는 명성이 전해졌는데  
萍水過逢亦偶然[평수과봉역우연] : 강물의 부평초처럼 지나다 만나니 또한 우연이로다.  
深愧叔譽非具眼[심괴숙예비구안] : 심히 부끄러운 건 숙예가 안목을 갖추지 못하였으니  
不知鬷蔑在樽前[부지종멸재준전] : 종멸이 술동이 앞에 있는 것을 알지 못하였다네.
 

 

京求[경구] : 경강, 한강이 어귀.

盛名[성명] : 떨치는 이름, 광장한 명성.

叔譽[숙예], 鬷蔑[종멸] : 춘추 시대 晉[진] 나라 叔向[숙향].

   숙향이 鄭[정] 나라에 갔을 때, 정나라 大夫[대부]인 鬷蔑[종멸]이

   얼굴이 매우 못생겼었는데, 숙향을 만나보기 위해 숙향에게

   술 대접하는 심부름꾼을 따라 들어가 堂[당] 아래에 서서 한 마디 훌륭한 말을 하자,

   숙향이 마침 술을 마시려다가 종멸의 말소리를 듣고는

   “반드시 종멸일 것이다.” 하고, 당 아래로 내려가서 그의 손을 잡고

   자리로 올라가 서로 친밀하게 얘기를 나누었던 데서 온 말이다.

   左傳 昭公 28年[좌전 소공 28년]

具眼[구안] : 옳고 그름을 가릴 수 있는 안식.

 

白沙先生集卷之一[백사선생집1권] 詩[시] 1629년 간행본 인용

이항복[1556-1618] : 자는 子常[자상], 호는 白沙[백사], 弼雲[필운],

   靑華眞人[청화진인], 東岡[동강], 素雲[소운]

   임진왜란 때 병조판서를 지내면서 많은 공적을 세운 조선의 문신.

   1617년 인목대비 폐모론에 반대하다가 1618년 관직이 삭탈되고

   함경도 북청에 유배되어 그곳에서 죽었다.

'李恒福' 카테고리의 다른 글

夜坐[야좌]  (2) 2025.01.05
二月初六日[이월초륙일]到北靑[도북청]  (0) 2025.01.01
咸原驛[함원역]  (0) 2024.12.25
德山驛[덕산역]  (0) 2024.12.22
定平儒生等會于道左[정평유생등회우도좌]  (0) 2024.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