月節變曲[월절변곡] 12首 中 12월玄同 李安中[현동 이안중] 月節變曲[월절변곡] 12首 玄同 李安中[현동 이안중] 十二月 今夜不張燭[금야부장촉] : 오늘밤 촛불 켜지 않았더니 不見阿郞面[불견아랑면] : 낭군의 얼굴은 보이지 않고 但聞香氣息[단문향기식] : 향긋한 냄새에 숨소리만 들리니 朝來對鏡看[조래대경간] : 아침에 거울보고 하는 말 如何!.. 한시 기초 2016.01.12
月節變曲[월절변곡] 12首中 11월 玄同 李安中[현동 이안중] 月節變曲[월절변곡] 12首 玄同 李安中[현동 이안중] 十一月 今日寒政苦[금닐한정고] : 오늘 추위 몹씨도 심하여라 鴛衾薄不暖[원금박불난] : 원앙금침 얇아서 따뜻하지 않아 竟夜交郎拘[경야교낭구] : 밤이 새도록 낭군을 껴앉고 자다가 回首向郎道[회수향낭도] : 고개 돌려 서방님 향하여 .. 한시 기초 2016.01.10
月節變曲[월절변곡] 12首中 10월 玄同 李安中[현동 이안중] 月節變曲[월절변곡] 12首 玄同 李安中[현동 이안중] 十月 嚴霜厚如雪[엄상후여설] : 서리가 심하니 두터운 눈 같은데 千林盡憔悴[천림진초췌] : 많은 숲이 전부 쇠하고 시들어버렸네. 松栢守舊蓈[송백수구절] : 소나무와 잣나무 절개를 오래도록 지키는데 願郎心勿易[원랑심물역] : 낭.. 한시 기초 2016.01.10
月節變曲[월절변곡] 8월 玄同 李安中[현동 이안중] 月節變曲[월절변곡] 12首 玄同 李安中[현동 이안중] 八月 促織鳴寒戶[촉직명한호] : 서둘러 베짜는소리 집마다 쓸쓸히 울리니 儂欲上機時[농욕상기시] : 나도 때 마추어 베틀에 오르려 하였네. 已復呼儂去[이부호농거] : 조금 뒤 나를 다시 부르기에 가보니 願郎聽儂語[원낭청농.. 한시 기초 2016.01.07
月節變曲[월절변곡] 7월 玄同 李安中[현동 이안중] 月節變曲[월절변곡] 12首 玄同 李安中[현동 이안중] 七月 試出長河渚[시출장하저] : 긴 강 물가를 살펴보러 나가니 郎作牽牛來[낭작견우래] : 낭군은 견우가 되어 돌아오네요. 儂作織女去[농작직녀거] : 저는 직녀가 되어서 가보니 相逢更無人[상봉갱무인] : 서로 만나도 밤이라 사람도 .. 한시 기초 2016.01.07
月節變曲[월절변곡] 6월 月節變曲[월절변곡] 12首 玄同 李安中[현동 이안중] 六月 投扇故不持[투선고부지] : 일부러 부채를 던지고 잡지 않고서 十指應似儂[십지응사농] : 열 손가락을 내게 보이며 맞장구치네. 每來令儂揮[매래영농휘] : 늘 돌아와 나로 하여금 흔들게하니 蒸炎夜不歇[증염야불헐] : 찌는 .. 한시 기초 2016.01.05
月節變曲[월절변곡] 5월 月節變曲[월절변곡] 12首 玄同 李安中[현동 이안중] 五月 不寬亦不窄[불관역불착] : 크지도 않고 또 좁지도 않게 羅衫白苧袍[라삼백저포] : 적삼에 모시 도포가 깨끗하구나. 朝來與郎着[조래여낭착] : 아침이 되어 낭군에게 주어 입히니 郎去入市中[낭거입시중] : 낭군은 시장 속으로 들어 .. 한시 기초 2016.01.05
月節變曲[월절변곡] 4월 月節變曲[월절변곡] 12首 玄同 李安中[현동 이안중] 四月 千林花盡空[천림화진공] : 무성한 숲에 꽃이 다하여 쓸쓸한데 獨見郎樓上[독견낭루상] : 다만 다락 위의 낭군만이 보이네. 一枝尙留紅[일지상류홍] : 가지 하나에 아직 붉은빛이 머무는데 郎莫愛黃鳥[낭막애황조] : 낭군은 조용히 .. 한시 기초 2016.01.05
月節變曲[월절변곡] 3월 月節變曲[월절변곡] 12首 玄同 李安中[현동 이안중] 三月 小立花林中[소립화림중] : 아름다운 숲 속에 잠시 서보니 楊葉似新眉[양엽사신미] : 버들 잎은 새로와 눈썹 같구나. 桃花學裙紅[도화학군홍] : 복숭아 꽃으로 붉은 치마를 흉내내니 呼郎來覔儂[호낭래멱농] : 낭군은 소리치.. 한시 기초 2016.01.05
月節變曲[월절변곡] 2월 月節變曲[월절변곡] 12首 玄同 李安中[현동 이안중1752-1791] 二月 折得可憐紅[절득가린홍] : 사랑스런 붉은 꽃을 꺽어 손에 쥐고 與儂同照鏡[여농동조경] : 나와 더불어 함께 거울에 비추었네. 花完不及儂[화완불급농] : 꽃이 온전해도 나에겐 미치지 못하니 縱令花勝儂[종령화승.. 한시 기초 2016.01.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