蟬唫三十絶句[선음삼십절구] 30-4
茶山 丁若鏞[다산 정약용]
매미를 읊어 30절구를 이루다.(1829년 연작시)
園木垂垂欲曙天[원목수수욕서천] : 동산의 나무에 하늘은 서서히 밝아지려 하니
露花如沐主翁眠[노화여목주옹면] : 꽃은 이슬에 젖었고 주인 어른은 잠들었구나.
鏦鏦數轉鈿車響[총총삭전전차향] : 청아한 소리 자주 전하여 장식한 수레 울리니
這是黃鍾第一絃[저시황종제일현] : 이는 무릇 12율의 첫째음중 제일 첫째 현이네.
鏦鏦[총총] : 쨍그랑.
鈿車[전차] : 나전으로 장식한 차.
黃鍾[황종] : 동양음악에서 십이율의 첫째 음.
與猶堂全書[여유당전서]
第一集詩文集第六卷[제1집시문집제6권]
松坡酬酢[송파수작] 詩集[시집]
丁若鏞[정약용, 1762-1836] : 자는 美庸[미용],
호는 俟菴[사암] · 籜翁[탁옹] · 苔叟[태수] ·
紫霞道人[자하도인] · 鐵馬山人[철마산인] ·
茶山[다산], 당호는 與猶堂[여유당]이며, 시호는 文度[문도].
'茶山 丁若鏞' 카테고리의 다른 글
蟬唫三十絶句[선음삼십절구] 30-6 (0) | 2023.12.18 |
---|---|
蟬唫三十絶句[선음삼십절구] 30-5 (0) | 2023.12.13 |
蟬唫三十絶句[선음삼십절구] 30-3 (0) | 2023.12.05 |
蟬唫三十絶句[선음삼십절구] 30-2 (1) | 2023.11.29 |
蟬唫三十絶句[선음삼십절구] 30-1 (2) | 2023.11.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