蟬唫三十絶句[선음삼십절구] 30-1 茶山 丁若鏞[다산 정약용]
매미를 읊어 30절구를 이루다.
菜花亭畔數枝蟬[채화정반촉수선] : 채화정 물가에 촘촘한 가지의 매미들
品石亭前蟬滿天[품석정전선만천] : 품석정 앞의 하늘에 매미 가득하구나.
藉使暑天無此物[자사서천무차물] : 만약 무더운 날씨에 이 물건이 없다면
寥寥六合只如眠[요료륙합지여면] : 적막한 천지 사방 다만 잠든 것 같구나.
1829년 여름, 매미를 읊은 연작시
菜花亭[채화정] : 만년에 고향에 돌아와 초천의 집 부근에 새로 지은 작은 정자의 이름.
品石亭[품석정] : 고향 소내에 살 때를 대비해 지어 두었던 정자에 이름을 새로 붙인 것.
바위마저도 칭찬해야한다는 뜻.
藉使[자사] : 만일, 만약, 가령.
暑天[서천] : 무더운 날의 하늘, 더운 날씨.
六合[육합] : 천지 사방.
與猶堂全書[여유당전서]
第一集詩文集第六卷[제1집시문집제6권]
松坡酬酢[송파수작] 詩集[시집]
丁若鏞[정약용, 1762-1836] : 자는 美庸[미용],
호는 俟菴[사암] · 籜翁[탁옹] · 苔叟[태수] · 紫霞道人[자하도인] · 鐵馬山人[철마산인 ·
茶山[다산], 당호는 與猶堂[여유당]이며, 시호는 文度[문도].
'茶山 丁若鏞' 카테고리의 다른 글
蟬唫三十絶句[선음삼십절구] 30-3 (0) | 2023.12.05 |
---|---|
蟬唫三十絶句[선음삼십절구] 30-2 (1) | 2023.11.29 |
次韻呂友晦江上草亭之作[차운려우회강상초정지작] (0) | 2023.11.20 |
次韻呂友晦贈李友[차운려우회증이우] 時泰[시태]之作[지작] (1) | 2023.11.16 |
次韻呂榮川友晦[차운려영천우회] (0) | 2023.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