莫愁曲[막수곡] 李英輔[이영보]
막수(莫愁)의 노래
何處人間怨白頭[하처인간원백두] : 어느 인간세상에 머리 허옇게 센것을 원망하나
莫愁年少不曾愁[막수연소부증수] : 막수는 나이 어려서도 근심하지 않았다오.
一曲嬌歌石城樂[일곡교가석성악] : 석성악의 요염한 노래 한곡조에
月明簾外大江流[월명염외대강류] : 주렴 밖의 밝은 달 빛은 큰 강처럼 흐르네.
其二
二八吳娃花揷頭[이팔오왜화삽두] : 열여섯 예쁜 아가씨 머리에 꽃을 꽂고
每逢春日動春愁[매봉춘일동춘수] : 해마다 봄 날이면 봄 시름 일어나네.
若爲化作前江水[약위화작전강수] : 만약 신비한 힘으로 변하여 앞 강물이 된다면
天際隨君日夜流[천제수군일야류] : 하늘 끝까지 님을 따라 밤낮으로 흘러가리라.
吳娃(오왜) : 오나라 미인이란 뜻이나 일반적으로 이쁜 아가씨를 지칭 함. 化作[화작] :불보살이 신비한 힘으로 여러 가지 사물을 변형시켜 나타내는 일
李英輔[이영보 :1687-1747] 자는 夢與[몽여], 호는 東溪[동계]
東溪遺稿[동계유고] 1759년 간행본에서 인용
莫愁[막수]
1. 전혀 수심 따위를 모르는 여자.
2. 남편과 헤어질 일이 없어 행복에 겨운 여자.
3. 고대 석성 땅의 예쁘고 노래를 잘 부르던 여자.
4. 뒤에 소녀를 통칭하는 말로 쓰임.
莫愁[막수]는 古樂府[고악부]에 흔히 등장하는 전설상의 미녀로 노래를 잘 불렀다 함.
古樂府[고악부]에 莫愁樂[막수악]이란 곡조가 있음.
일설에는 梁[양] 나라 洛陽[낙양]의 예쁜 소녀의 이름이라고 하는바,
이는 石城樂[석성악]에서 나왔다 함. 石城[석성]은 지금의 湖北[호북] 鍾祥縣[종상현].
남조 梁武帝[양무제 : 蕭衍[소연]]의 河中之水歌[하중지수가]에
河中之水向東流[하중지수향동류] : 하중의 물은 동쪽으로 흐르느데
洛陽女兒名莫愁[낙양여아명막수] : 낙양의 여아는 이름이 막수라네.
年來十二能織綺[연래십이능직기] : 열두살이 되어 비단을 짜고
十四採桑南陌頭[십사채상남맥두] : 열 네살에는 뽕잎 따다 누에를 쳤다오.
十五嫁爲盧家婦[십오가위노가부] : 열 다섯에 시집가서 노씨집 부인이 되었고
十六生兒字阿侯[십육생아자아후] : 열 여섯에 아이 낳으니 자가 아후로다.
盧家蘭室桂爲梁[노가난실계위량] : 노씨 집은 계수나무 들보에 난향이 그윽한 방에
中有欝金蘇合香[중유울금소합향] : 언제나 울금 향이 감돌고 있었다네.
또 舊唐書[구당서] 音樂志[음악지]에
石城有女子名莫愁 善歌謠[석성유여자명막수 선가요]
: 석성에 이름이 막수라는 여자가 있어 가요를 잘했다.
'한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梅[매] 宋某女僧[송모여승] (0) | 2015.01.08 |
---|---|
七步詩[칠보시] 曺植[조식] (0) | 2015.01.08 |
鏡浦泛舟[경포범주] 安軸[안축] (0) | 2015.01.06 |
廣津船上 望見三角山 有感[광진선상 망견삼각산 유감] 申光漢[신광한] (0) | 2015.01.05 |
近得[근득] 金萬重[김만중] (0) | 2015.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