煮豆[자두] 曺植[조식] 조조의 아들
콩을 삶네.
煮豆持作羹[자두지작갱] : 콩을 삶아 국을 끓이고
漉豉以為汁[록시이위즙] : 된장을 걸러서 국물을 내네.
煮豆燃豆萁[자두연두기] : 콩을 삶는데 콩대에 불을 붙이니
豆在釜中泣[두재부중읍] : 솥 안에 있는 콩이 눈물을 흘리네.
本是同根生[본시동근성] : 본디 같은 뿌리에서 태어났는데
相煎何太急[상전하태급] : 어찌 그리도 세차게 삶아대는가 ?
七步詩[칠보시] 曺植[조식]
煮豆燃豆萁[자두연두기] : 콩을 삶는데 콩대에 불을 붙이니
豆在釜中泣[두재부중읍] : 솥 안에 있는 콩이 눈물을 흘리네.
本是同根生[본시동근성] : 본디 같은 뿌리에서 태어났는데
相煎何太急[상전하태급] : 어찌 그리도 세차게 삶아대는가 ?
曺植[조식]은 曺操[조조]의 셋째 아들인데 재주가 워낙 출중해
아버지인 조조에게서 총애를 받고,
형인 曺丕[조비]에게서는 심한 질시와 견제를 받았다.
조비는 왕위에 오른 후에도 조식을 견제하며 해치울 기회만 엿보았다.
그러던 어느 날 조비는 조식에게 일곱 걸음을 걷는 동안에 시를 지으라고 명령하며
일곱걸음 내 시를 짓되 兄[형]과 弟[제] 이 두 글자를 넣지 말고 짓되
만약 그 동안에 시를 짓지 못하면 중벌에 처하겠다고 말한다.
이 때 조식이 지은 시가 바로 煮豆[자두]라는 시로,
조비는 이 시를 듣고 부끄러워하며 동생을 놓아주었다고 한다.
후세 사람들이 1구와2구를 생략하고 七步詩[칠보시]로 널리 불리게 됨.
'한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雪後登山城[설후등산성] 李安訥[이안눌] (0) | 2015.01.08 |
---|---|
梅[매] 宋某女僧[송모여승] (0) | 2015.01.08 |
莫愁曲[막수곡] 李英輔[이영보] (0) | 2015.01.07 |
鏡浦泛舟[경포범주] 安軸[안축] (0) | 2015.01.06 |
廣津船上 望見三角山 有感[광진선상 망견삼각산 유감] 申光漢[신광한] (0) | 2015.0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