梅花매화] 四首 李瀷[이익]
一
萬草千花不見芳[만초천화불견방] : 수많은 잡초와 많은 꽃들이 아직 피지 못하니
今年節晩少風光[금년절만소풍광] : 올해는 절기가 늦어 풍광이 적구나.
獨憐一樹春心露[독련일수춘심로] : 오직 한 나무에만 사랑스레 춘심이 드러나니
閒到庭前嗅異香[한도정전후이향] : 한가로이 뜰 앞에 이르러 야릇하게 좋은 향기를 맡네.
二
花事全䕺盡意芳[화사전총진의방] : 그루 가득 아름다운 꽃을 마음껏 피워내니
吾廬自此頓輝光[오려자차돈휘광] : 이에 절로 나의 오두막은 풍경이 빛나게 되는구나.
天生至美難專己[천생지미난전기] : 하늘이 낸 지극한 아름다움 홀로 다스리기 어려워
一任遊蜂細竊香[일임유봉세절향] : 노니는 벌들에게 맡기니 향기를 조금씩 훔쳐가는구려.
三
也是無人亦自芳[야시무인역자방] : 역시 다스리는 사람이 없어도 쉬이 절로 꽃피우니
天姿不解矜容光[천자불해긍용광] : 타고난 맵씨를 설명하진 못해도 빛나는 풍채는 공경하오
誰從谷裏彈成操[수종곡리탄상조] : 누가 조용히 골짜기 속에서 가지런히 연주하며 다루는지
別有山林隱者香[별유산림은자향] : 산림속에 따로 떨어져 있는 은인이 향기롭구나.
四
滿眼繁華絶代芳[만안번화절대방] : 눈에 가득 뒤섞여 화려하니 비할데 없이 아름답고
山門一朶隱晴光[산문일타은청광] : 산 어귀에 한 떨기가 숨어서 맑게 빛나네.
西湖得句眞先著[서호득구진선저] : 서호는 시구를 얻어 참으로 먼저 나타냈으니
看到黃昏動暗香[간도황혼동암향] : 황혼이 되도록 바라보다 그윽한 향기에 감응하네.
西湖[서호] : 宋[송]나라 때의 隱士[은사]였던 林逋[임포]. 그의 시 山園小梅[산원소매]에서
疎影橫斜水淸淺 暗香浮動月黃昏[소영횡사수청천 암향부동월황혼] : 성근 그림자 비껴 있고 물은 맑고 얕은데,
그윽한 향기 풍겨오고 달빛은 희미하구나.
星湖全集[성호전집] 星湖先生全集卷之一 詩 1922년 긴행본
'한 시' 카테고리의 다른 글
권토중래 (0) | 2015.03.27 |
---|---|
春女怨[춘녀원] 薛維翰[설유한] (0) | 2015.03.24 |
紫霞洞[자하동] 金正喜[김정희] (0) | 2015.03.17 |
因雪示衆[인설시중] 眞覺國師[진각국사] (0) | 2015.03.11 |
舊燕來[구연래] 二首 (0) | 2015.03.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