四佳先生赴京[사가선생부경]於途中[어도중]
作永平八景奉和[작영평팔경봉화] 8-2
金時習[김시습]
사가선생이 경사로 가는 도중에 지은
영평 8경을 받들어 화답하다. 8-2
碣石晴照[갈석청조] : 갈석산의 개인 영상.
黃河千古赴滄溟[황하천고부창명] : 황하는 영구한 세월 큰 바다로 나아가고
碣石山高萬丈靑[갈석산고만장청] : 뛰어난 갈석산은 만 길 높이로 푸르구나.
紅日照篷搖淡影[홍일조봉요담영] : 붉은 해 작은배 비추며 맑은 형상 흔들고
浮光瀲灎落寒汀[부광렴염락한정] : 떠있는 달빛 넘실넘실 찬 물가에 떨어지네.
四佳先生[사가선생] : 徐居正[서거정,1420-1488]의 호,
자는 剛中[강중]·子元[자원], 호는 四佳亭[사가정] 혹은 亭亭亭[정정정]
홍문관부수찬, 공조참의, 예조참판, 형조판서, 좌참찬, 좌찬성
碣石山[갈석산] : 허베이성 서부 秦皇島市[진황도시] 昌黎縣[창려현] 소재.
발해만을 굽어보는 평야지대에 우뚝 솟아 있어 위압감을 주며,
그래서 역대 중국의 제왕들에게도 神岳[신악]으로 간주되었다.
黃河[황하] : 중국 북부를 서에서 동으로 흐르는 강.
浮光[부광] : 물 위에 비친 달 그림자.
瀲灎[염염] : 넘칠 듯이 출렁거림.
서거정이 직접 방문해 읊은
碣石晴照[갈석청조]
海門從古浪奔雷[해문종고랑분뢰] : 해문은 예로부터 물결이 우뢰처럼 빠르고
一帶黃河衰衰來[일대황하쇠쇠래] : 일대에는 황하가 쇠하게 시들어 돌아오네.
我欲琴綠登碣石[아욕금록등갈석] : 나는 편안히 푸른 거문고에 갈석산에 올라
俯看溟勃小於杯[부간명발소어배] : 작은 술잔 의지해 일어나 바다를 굽어보네.
梅月堂詩集卷之六[매월당시집6권] 詩[시] 酬答[수답]
酬答[수답] : 묻는 말에 답하다.
金時習[김시습,1435-1493] : 자는 悦卿[열경].
호는 梅月堂[매월당], 東峰[동봉], 碧山淸隠[벽산청은], 贅世翁[췌세옹]
단종이 세조에게 양위할 때 크게 충격을 받아 실의하여
머리를 삭발하고 중이 되어 山水間에 방랑하며 절의를 지킴.
生六臣의 한 사람. 조선초기의 문인 (소설가).
'매월당 김시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四佳先生赴京[사가선생부경]於途中[어도중] 作永平八景奉和[작영평팔경봉화] 8-4 (2) | 2024.10.05 |
---|---|
四佳先生赴京[사가선생부경]於途中[어도중] 作永平八景奉和[작영평팔경봉화] 8-3 (4) | 2024.09.30 |
四佳先生赴京[사가선생부경]於途中[어도중] 8-1 (2) | 2024.09.21 |
和四佳先生韻[화사가선생운] (8) | 2024.09.18 |
次遣興韻[차견흥운] (2) | 2024.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