又四絶[우4절] 五言 退溪 李滉[퇴계 이황]
以下四絶所詠[이하4절소영]皆天淵所望[개천연대망]
이하 4절을 지은 것은 다 천연대에서 본것이다.
然皆有主[연개유주]故不係陶山[고불계도산]而別錄于下[이별록우하]
그러나 다 주인이 있어, 도산에 매이지 않아 뒤에 따로 적으니
亦山谷所謂借景之義也[역산곡소위차경지의야]
또한 황산곡이 "경치를 빌린다"하던 뜻이다.
2. 汾川[분천]
在西翠屛南[재서취병남]實里名也[실리명야]
서취병 남쪽에 있으며 마을 이름이다.
知事之胤大成所居[지사지윤대성소거]大成號碧梧[대성호벽오]
지사의 아들 대성이 살던 곳인데 대성의 호는 벽오다.
汾川非異水[분내비리수] : 분천의 강물은 기이하지 아니한데
回首想梧陰[회수상오음] : 머리 돌려보니 오동나무 그늘 닮았네.
摵摵鳴疎雨[색색명소우] : 잎 떨어지는 소리 성긴 비에 울리며
秋來戀主深[추래연주심] : 가을 오니 임 그리는 마음 깊어지네.
知事[지사] : 知中樞府事[지중추부사] 李賢輔[이현보].
大成[대성] : 李文樑[이문량]의 字[자] 호는 碧梧[벽오], 李滉[이황]과는 이웃에 살면서 절친하였는데,
1564년 이황과 함께 淸凉山[청량산]을 유람하면서 시를 읊고 학문을 토론하기도 하였다.
退溪先生文集卷之三[퇴계선생문집3권] 詩[시]
한국고전번역원 |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 1989 인용.
'이 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又四絶[우4절] 五言 4. 屛庵[병암], (0) | 2018.07.07 |
---|---|
又四絶[우4절] 五言 3. 賀淵[하연] (0) | 2018.07.07 |
又四絶[우4절] 1. 聾巖[농암] (0) | 2018.07.06 |
陶山雜詠[도산잡영] 二十六絶[이십육절] 26. 校洞[교동] (0) | 2018.07.04 |
陶山雜詠[도산잡영] 二十六絶[이십육절] 25. 土城[토성] (0) | 2018.07.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