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克己

취시가[醉時歌]

돌지둥[宋錫周] 2013. 12. 31. 14:50

          醉時歌[취시가]                   金克己[김극기]

 

釣必連海上之六鼇[조필연해상지육오] : 낚시질하면 반듯이 바다위 여섯 자라를 잡고

射必落日中之九烏[사필낙일중지구오] : 활 쏘면 반드시 해 속의 아홉 까마귀를 떨어뜨리지.....

   육오; 동해의 삼신산을 떠 받치고 있다는 여섯마리 큰 자라.

   용백국의 대인이 한 번 낚시하면 여섯 마리의 자라를 낚았고, 요 임금때는 열 마리의 까마귀(태양)가

   동시에 나타나 초목이 타들어가자 '예'가 아홉마리를 쏴서 떨어 뜨렸다.

 

六鼇動兮魚龍震蕩[육오동혜어룔진탕] : 여섯 자라가 움직이면 고기와 용이 두려워 흩어지고

九烏出兮草木焦枯[구오출혜초목초고] : 아홉 까마귀 나타나니 초목이 말라 죽네.....

   震蕩[진탕] : 두려워 흩어지다.

 

男兒要自立奇節[남아요자립기절] : 사나이는 뛰어난 절개 스스로 세워야 하나니

弱羽纖鱗安足誅[약우섬린안족주] : 약한 새와 작은 물고기를 어찌 베어야 족하려는가.....

    安 : 왜 , 어찌.     

 

紫纓雲孫始墮地[자영운손시타지] : 자주빛 갓끈(귀한집) 자손으로 처음 땅에 떨어져(태어나)

自謂壯大陳雄圖[자위장대진웅도] : 장하고 웅대한 계획을 펼치리라 스스로 일컬었다오.....

    紫纓[자영]: 자주빛 갓 끈, 귀한.  雲孫[운손] : 훌륭한 자손  雄圖[웅도] : 웅대한 계획.

 

練石欲補東南缺[연석욕보동남결] : 돌을 갈아 동남쪽 하늘 무너지는것을 막으려 하고

鑿石將通西北迂[착석장통서북우] : 바위를 뚫어 서북쪽과 통하려 했소.

    여와[女蝸]씨는 공공씨와 축융씨가 서로 싸우다 부주산[不周山]을 들이받아 하늘을 받치던 기둥이 부러졌을 때

     돌을 다듬어 하늘을 메우고 자라의 네 다리로 네 기둥을 세웠으며,

     장건[張騫]은 흉노에게 잡혀 있다가 돌아와 흉노를 치는데 공을 세워 서북의 막혀 있던 통로를 뚫었다.

 

嗟哉計大未易報[차재계대미이보] : 아 ! 계획은 웅대하나 쉬이 이루지 못하니

半世飄零爲腐儒[반세표령위부유] : 반평생을 몰락하여 썩은 선비되었구나.....

   飄令[표령] : 몰락하다...

 

不隨馮異西登[불수풍이서등롱] : 풍이가 농서땅에 오름을 따르지 못하고

不逐孔明南渡瀘[불축공명남도로] : 제갈공명이 남만을 평정하려 노수를 건너감을 본받지 못하네.....

    馮異[풍이] : 후 한 광무제의 장수, 자를 공손. 겸손하여 무공을 논할 때 나무밑에 피하여 계획을 준비하여

    大樹[대수]장군이라 하여 군졸이 많이 따름.

 

論詩說賦破屋下[논시설부파옥하] : 쓰러져가는 집에서 시를 논하고 부를 말하며

却把短布抱妻[각파단포포처노] : 짧은 베옷에 처자식에 둘러싸여 있다오.....

 

時時壯憤掩不得[시시장분엄부득] : 때때로 비장한 울분을 누를 수 없어

拔劍斫地空長[발검착지공장우] : 칼을 뽑아 땅을 베고 하염없이 긴 탄식만 하노라.....

 

何時乘風破巨浪[하시승풍파거랑] : 어느 때나 바람을 타고 큰 물결 헤치며

坐令四海如唐虞[좌령사해여당우] : 앉아서 이 천하를 요순 시대 되게 하려나.....

 

君不見[군불견] : 그대 보지 못했나 !

凌煙閣上圖形容[능연각상도형용] : 능연각 위에 그려진 얼굴 모습을.....

半是書生半武夫[반시서생반무부] : 절반은 선비요 절반이 무인인 것을.....

 

종전의 풀이 글들이 많이 한자와 상이하여 나름껏 다시 옥편을 찾아봅니다.

잘못 오역된 부분은 지도 편달 부탁드립니다.

 

'金克己' 카테고리의 다른 글

通達驛  (0) 2014.10.09
秋晩月夜  (0) 2014.10.09
유감[有感]  (0) 2013.12.27
봄 ! (田家四時)  (0) 2013.12.15
가을날의 오얏 꽃을 노래함. !  (0) 2013.12.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