왕력 |
서기 |
간지 |
연호 |
연령 |
기사 |
중종 |
32 |
1537 |
정유 |
嘉靖 |
16 |
1 |
10월 7일, 懷德에서 태어나다. |
명종 |
7 |
1552 |
임자 |
嘉靖 |
31 |
16 |
5월, 부친상을 당하다. |
명종 |
10 |
1555 |
을묘 |
嘉靖 |
34 |
19 |
全義李氏 李瀚의 딸과 혼인하다. ○ 부인상을 당하다. |
명종 |
12 |
1557 |
정사 |
嘉靖 |
36 |
21 |
晉州柳氏 柳亨弼의 딸과 혼인하다. |
명종 |
17 |
1562 |
임술 |
嘉靖 |
41 |
26 |
4월, 모친상을 당하다. |
명종 |
18 |
1563 |
계해 |
嘉靖 |
42 |
27 |
雙淸堂과 節友堂을 중수하다. |
명종 |
20 |
1565 |
을축 |
嘉靖 |
44 |
29 |
장남 宋希遠이 태어나다. |
선조 |
5 |
1572 |
임신 |
隆慶 |
6 |
36 |
차남 宋希建이 태어나다. |
선조 |
9 |
1576 |
병자 |
萬曆 |
4 |
40 |
鷄龍山을 유람하다. |
선조 |
11 |
1578 |
무인 |
萬曆 |
6 |
42 |
蔭補로 司圃署 別提가 되다. |
선조 |
12 |
1579 |
기묘 |
萬曆 |
7 |
43 |
義盈庫 直長이 되다. |
선조 |
13 |
1580 |
경진 |
萬曆 |
8 |
44 |
삼남 宋希進이 태어나다. |
선조 |
15 |
1582 |
임오 |
萬曆 |
10 |
46 |
尙衣院 主簿가 되다. |
선조 |
18 |
1585 |
을유 |
萬曆 |
13 |
49 |
司憲府 監察이 되다. |
선조 |
19 |
1586 |
병술 |
萬曆 |
14 |
50 |
9월, 아우 宋桂壽의 상을 당하다. ○ 定山 縣監이 되다. |
선조 |
25 |
1592 |
임진 |
萬曆 |
20 |
56 |
사헌부 감찰이 되다. |
선조 |
26 |
1593 |
계사 |
萬曆 |
21 |
57 |
종부시 주부, 상의원 판관, 평시서 영, 호조 정랑이 되다. 通川 郡守가 되어 관동지역을 유람하다. ○ 杆城 郡守 石峯 韓濩가 〈歸去來辭〉를 써 주다. |
선조 |
29 |
1596 |
병신 |
萬曆 |
24 |
60 |
봄, 체직되다. ○ 7월, 서울 賞心軒에 거처하다. ○ 8월, 懷德으로 돌아가다. |
선조 |
30 |
1597 |
정유 |
萬曆 |
25 |
61 |
7월, 林川 郡守가 되다. ○ 군수로서 왜적의 침입 때에 도망쳤다는 이유로 파직되었다가 사면된 후 벼슬에 뜻을 두지 않다. |
선조 |
32 |
1599 |
기해 |
萬曆 |
27 |
63 |
11월, 恩津宋氏 族譜를 편찬하다. |
선조 |
38 |
1605 |
을사 |
萬曆 |
33 |
69 |
5월, 아우 宋樺壽의 상을 당하다. ○ 七級臺를 짓다. |
선조 |
39 |
1606 |
병오 |
萬曆 |
34 |
70 |
용양위 부호군이 되다. |
선조 |
41 |
1608 |
무신 |
萬曆 |
36 |
72 |
권필이 찾아오다. ○ 7월, 아우 宋栢壽의 상을 당하다. |
광해군 |
2 |
1610 |
경술 |
萬曆 |
38 |
74 |
3월, 부인 柳氏의 상을 당하다. |
광해군 |
3 |
1611 |
신해 |
萬曆 |
39 |
75 |
봄, 五峯 李好閔을 屈坡院에서 만나다. |
광해군 |
6 |
1614 |
갑인 |
萬曆 |
42 |
78 |
2월, 서울 桃花洞에서 耆舊會를 갖다. ○ 가을, 靜坐窩 宋爾昌과 계룡산을 유람하다. |
광해군 |
7 |
1615 |
을묘 |
萬曆 |
43 |
79 |
公州 沙寒里에 披雲庵을 짓고, 작은 못을 파서 ‘松潭’이라 하고 自號로 삼다. ○ 8월, 永同縣 東臺 등을 유람하다. |
광해군 |
8 |
1616 |
병진 |
萬曆 |
44 |
80 |
봄, 쌍청당을 중수하다. ○ 錦江에서 뱃놀이를 하다. |
광해군 |
9 |
1617 |
정사 |
萬曆 |
45 |
81 |
봄, 송이창의 揖灝亭에 가다. ○ 7월, 荊江을 유람하다. |
광해군 |
14 |
1622 |
임술 |
天啓 |
2 |
86 |
8월, 甲川을 유람하다. ○ 12월, 〈海東山川錄〉을 편찬하다. |
인조 |
1 |
1623 |
계해 |
天啓 |
3 |
87 |
〈檢身要訣〉을 편찬하다. |
인조 |
3 |
1625 |
을축 |
天啓 |
5 |
89 |
봄, 桐溪 鄭蘊이 찾아오다. ○ 5월, 읍호정에서 송이창과 만나다. |
인조 |
4 |
1626 |
병인 |
天啓 |
6 |
90 |
부호군이 되다. ○ 〈自誌文〉을 짓다. ○ 12월 30일, 懷德에서 졸하다. |
인조 |
5 |
1627 |
정묘 |
天啓 |
7 |
― |
2월, 公州 沙寒里에 장사 지내다. |
숙종 |
12 |
1686 |
병인 |
康熙 |
25 |
― |
증손 宋奎濂이 목판으로 문집을 초간하다. |
― |
― |
1968 |
무신 |
― |
― |
― |
후손 宋錫璘이 대전에서 문집을 중간하다. | 기사전거 : 自誌文(宋柟壽 撰), 年譜(重刊本), 本集內容 등에 의함 |
저자의 시문은 손자 宋國士와 증손 宋奎昌ㆍ宋奎濂(1630~1709), 宗玄孫 宋相抃 등이 蒐集 編次하여 1686년에 목판으로 간행하였다.《초간본》 이 본은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D1-A291), 성균관대학교 존경각(D3B-591) 등에 소장되어 있다. 이 중 고대본은 1687년에 송규창과 충청도 관찰사 송규렴 등이 저자가 自編하여 둔 〈檢身要訣〉을 목판으로 간행하여, 이것을 원집에다 부록으로 묶고, 金昌協에게 받은 발문을 1696년에 追刻하여 권미에 合附한 것이다. 1968년에 후손 宋錫璘이 원집에서 빠진 한글 短歌(1), 題跋(1), 墓表(2)를 蒐補하고 부록으로 年譜, 家狀, 墓誌, 墓碣銘, 拾遺, 諸公贈章, 跋 등을 추가하여 대전에서 4권 2책으로 石印하였다.《중간본》 이 본은 장서각(D3B 1163B),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 계명대학교 동산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본서의 저본은 손자 宋國士와 증손 宋奎昌ㆍ宋奎濂 등이 1686년에 간행한 초간본에 1687년에 간행한 〈검신요결〉과 1696년에 추각한 김창협의 발문을 합부한 후쇄본으로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장본이다. 저본의 발문은 필사된 것이므로 동일본인 국립중앙도서관장본(한46-가185)에서 刊本으로 대체하였으며, 필사된 송규창의 〈검신요결〉의 後識는 본 총간의 편찬 방침에 따라 수록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