龍城廣寒樓酒席酬唱[용성광한루주석수창]
林悌[임제]
용성 광한루 슬자리에서 시를 주고 받다.
賓主交懽俗物稀[빈주교환속물희] : 나그네와 주인이 기쁘게 사귀니 속된 물건도 드물고
一樓除我摠能詩[일루제아총능시] : 하나의 누각에 나를 다스리니 시 짓기에 모두 능하네.
晩山當檻雲初斂[만산당함운초렴] : 저무는 산을 난간에 마주하니 구름이 비로소 거두고
淸景撩人席屢移[청경료입석루이] : 맑은 햇살이 사람들을 다스리니 자주 자리를 옮기네.
半醉半醒深夜後[반취반성심야후] : 반쯤 취한것 같고 반 쯤 깬 듯한 뒤에는 밤 깊어지고
相逢相別落花時[상봉상별락화시] : 서로 만났다 서로 헤어지려니 때마침 꽃이 떨어지네.
橋邊楊柳和煙綠[교변양류화연록] : 다리 모퉁이의 수양버들은 푸른빛 안개 서로 응하여
欲折長條贈所思[욕절장조증소사] : 장차 긴 가지를 꺾어서 생각하는 바를 보내려 한다네.
賓主[빈주] : 손님과 주인.
俗物[속물] : 속된 물건, 속된 사람. 교양이 없으며 식견이 좁고,
세속적 이익이나 명예에만 마음이 급급한 사람을 얕잡아 이르는 말.
半醉半醒[반취반성] : 술이 취한 듯도 하고 깬 듯도 함.
南浦微風生晩波[남포미풍생만파] : 남쪽 물가의 살살부는 바람에 해질녁의 물결이 일고
晴煙低柳碧斜斜[청연저류벽사사] : 개인 하늘 안개 머무는 버들은 비껴 기울어 푸르구나.
山分仙府樓居好[산분선부루거호] : 산을 나누는 신선 관아의 아름다운 누각을 차지하니
路入平蕪野色多[노입평무야색다] : 거칠은 평원의 길에 들어서니 들판의 빛은 뛰어나네.
千里更成京國夢[천리갱성경국몽] : 썩 멀리 떨어진 거리 서울 세상의 꿈을 다시 이루려고
一春空負故園花[일춘공부고원화] : 하나의 봄 헛되이 떠맡으니 오래된 동산에 꽃이 피네.
淸尊話別新篇在[청준화별신편재] : 맑은 술 술잔으로 작별을하며 새로운 시편을 살피나
却勝驪駒數曲歌[각승여구수곡가] : 도리어 손님 보내는 노래 몇 곡 노래하니 뛰어나구나.
晴煙[청연] : 맑은 하늘에 낀 안개.
驪駒[여구] : 검은 말. 驪駒[여구]는 歌曲[가고]의 이름, 손님이 떠나려 하면 驪駒歌[여구가]를 노래함.
驪駒在路[여구재로]僕夫整鴐[복부정가] : 여구가 길에 있으니 마부가 멍에를 정리하네
漢書[한서] 王式傳[왕식전].
林白湖集卷之三[임백호집3권] 七言近體[칠언근체]
'한시 봄' 카테고리의 다른 글
新寧[신녕] (0) | 2022.07.30 |
---|---|
次春曉[차춘효] (0) | 2022.07.15 |
走題李心葊梅花小幅詩後[주제이심암매화소폭시후] (0) | 2022.06.25 |
次春晝睡起[차춘주수기] (0) | 2022.06.20 |
庚戌暮春望後二日[경술모춘망후이일] (0) | 2022.06.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