陶山雜詠[도산잡영] 十八絶[십팔절] 七言 退溪 李滉[퇴계 이황]
18. 芙蓉峯[부용봉] 趙上舍士敬家在峯下[조상사경가재봉하]
上舍[상사] 趙士敬[조사경]의 집이 봉우리 아래에 있다.
南望雲峯半隱形[남망운봉반은형] : 남쪽 바라보니 구름 봉우리 모습이 반쯤 가려져
芙蓉曾見足嘉名[부용증견족가희] : 부용이라 거듭 바라보니 이름이 족히 아름답네.
主人亦有烟霞癖[주인역유연하벽] : 주인 또한 넉넉하게 연하를 즐기는 버릇이 있어
茅棟深懷久未成[모동심회구미성] : 초가집에 대한 깊은 생각 아직도 이루지 못하네.
上舍[상사] : 생원, 진사.
煙霞癖[연하벽] : 山水[산수]를 좋아하여 그 경치를 감상하며 즐기는 버릇,
田遊岩[전유암]의 泉石膏肓[천석고황] 煙霞痼疾[연하고질] 인용.
茅棟[모동] : 초가집, 朱熹[주희]의 시 "琴書四十年[금서사십년] 幾作山中客[기작산중객].
一日茅棟成[일일모동성] 居然我泉石[거연아천석] : 거문고와 책 40년에 산중에 손으로 있었더니
하룻날 초가집[茅棟]이 이루어지고 보니 이제는 나의 산수로구나.에서 인용
深懷[심회] : 깊이 생각함, 또는 깊은 회포.
退溪先生文集卷之三[퇴계선생문집3권] 詩[시]
한국고전번역원 | 영인표점 한국문집총간 | 1989 인용.
'이 황' 카테고리의 다른 글
陶山雜詠[도산잡영] 二十六絶[이십육절] 五言 2. 冽井[열정] (0) | 2018.06.18 |
---|---|
陶山雜詠[도산잡영] 二十六絶[이십육절] 五言 1. 蒙泉[몽천] (0) | 2018.06.18 |
陶山雜詠[도산잡영] 十八絶[십팔절] 17. 西翠屛山[서취병산] (0) | 2018.06.17 |
陶山雜詠[도산잡영] 十八絶[십팔절] 16. 東翠屛山[동취병산] (0) | 2018.06.16 |
陶山雜詠[도산잡영] 十八絶[십팔절], 15. 盤陀石[반타석] (0) | 2018.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