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만리,소식, 기타

續麗人行[속여인행]

돌지둥[宋錫周] 2025. 2. 7. 17:40

 

續麗人行[속여인행]    蘇軾[소식]

 

李仲謀家有周昉畵[이중모가유주방화]背面欠伸內人[배면흠신내인]

戲作此詩[희작차시] :

이중모의 집에 주방이 얼굴을 등지고 하품하며 기지개 켜는 내인을 그렸기에

희롱허며 이 시를 짓는다.

 

深宮無人春日長[심궁무인춘일잘] : 깊은 궁궐 사람도 없고 봄날 해는 길기만한데

沈香亭北百花香[침향정북백화향] : 침향정 정자 북쪽의 온갖 꽃들은 향기롭구나.

美人睡起薄梳洗[미인수기박소세] : 미인이 자다 일어나 세수하고 마리 빗어 묶고서

燕舞鶯啼空斷腸[연무앵제공단장] : 제비 날고 꾀꼬리 울자 부질없는 마음 다스리네.

畵工欲畵無窮意[화공욕화무궁의] : 화공이 그려보고자 하나 정취를 다 할 수 없으니

背立春風初破睡[배림춘풍초파수] : 봄 바람을 등지고 서서 비로소 잠을 깨는구나.

若敎回首却嫣然[약교회수각언연] : 만약  알리어 머리 돌려 아름답게 웃게 한다면

陽城下蔡俱風靡[양성하채구풍미] : 양성과 하채에서 모두 바람에 호사롭게 사치하네.

杜陵飢客眼長寒[두릉기객안장한] : 두릉의 굶주린 나그네 눈빛은 항상 쓸쓸한데

蹇驢破帽隨金鞍[건려파모수금안] : 노둔한 나귀 갈라진 모자로 금빛 안장 따르네.

隔花臨水時一見[격화림수시일견] : 꽃이 가린 강물 임하여 때마침 한번 바라보니

只許腰肢背後看[지허요지배후간] : 다만 허리와 팔다리 등 위에서 보길 허락하네.

心醉歸來茅屋裏[심취귀래모옥리] : 마음을 빼앗겨 띠풀 집 속으로 돌아오니

方信人間有西子[방신인간유서자] : 비로소 세상에 서시가 있음을 믿게 되었네.

君不見[군불견] : 그대 보지 못했나 ?

孟光擧案與眉齊[맹광거안여미제] : 맹광이 상를 들며 더불어 눈썹에 가지런히 했고

何曾背面傷春啼[하증배면상춘제] : 어찌 일찌기 등 돌리고 봄을 애태우며 울까나.

 

 

沈香亭[침향정] : 唐[당]나라 궁궐 안의 정자 이름.

  興慶池[흥경지] 동쪽에 있었으며, 당 현종이 모란을 들여와

  정자 앞에 심어 만발할 때 양귀비와 함께 이곳에서 잔치를 벌였고,

  또 이때 李白[이백]이 불려와서 淸平調[청평조] 3수를 지어 유명하다. 

  李白進淸平詞云[이백진청평사운] 

  名花傾國兩相歡[명화경국량상환] : 이름난 꽃 경국지색 둘이 서로 즐거우니

  長得君王帶笑看[장득군왕대소간] : 임금도 만족한 듯 웃음을 띠고 바라보네.

  解釋春風無限恨[해석춘풍무한한] : 봄 바람에 무한한 한을 풀어내고 나서

  沈香亭北倚闌干[침향정북의란간] : 침향정 북쪽 난간에 의지한다네.

嫣然[언연] : 아름다운 모습. (여성이) 아름답게 웃는 모습.

  宋玉[송옥]은 登徒子好色賦[등주자호색부]에서

  ‘嫣然一笑惑陽城迷下蔡[언연일소혹양성미하채] : 눈웃음치며 한 번 웃으면

  양성이 술렁대고 하채가 정신을 잃네’라고 하였다.

 

'양만리,소식,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豊樂亭游春[풍락정유춘]  (0) 2025.02.11
警世[경세]  (0) 2025.01.28
淸平樂[청평악] 年年雪裏[연년설리]  (0) 2025.01.18
尋隱者不遇[심은자불우]  (0) 2025.01.18
早梅[조매]  (2) 2025.01.08